Redesign your brain
살아가는 동안 완벽은 언제나 나를 피해 갈 테지만, 그렇지만 나는 또한 언제나 완벽을 추구하리라. -피터 드러커 호기심 많은 조직을 위한 경영혁신 10개명 -톰 피터스 호기심 많은 사람을 고용하라. 엉뚱한 사람을 고용하라. 굼뱅이는 쓸어버리고 괴짜를 키워라. 젊은이를 찾아라. 모든 사람들이 휴가를 가도록 하라. 호기심을 가르쳐라. 변화를 주어라. 색다를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할.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상호작용 환경을 만들어라. 재미있게 만들어라.
일할 때 시간배분을 잘 하지 못한다. => 시계를 보지 말고 5분을 재 보자. 시계를 보지 말고, 지금부터 한 시간 후에 커피를 마시러 가보자. 일의 우선순위를 매기지 못한다 => 자신의 좋아하는 순서대로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라. 금세 산만해져서 일을 하기 힘들다 => 하루 정도는 과감하게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며 놀아보자. 좋은 기획안이 떠오르지 않는다. => 항상 하고 있는 일에 평소와 다른 동작을 덧붙여 보자. (새로운 아이디어는 수많은 낭비의 축적으로 생겨난다. 쓸데없는 생각을 많이 하면 할 수록 새로운 발상으로 연결되어 좋은 아이디어가 생겨난다) 상대방이 전해 달라는 말을 제대로 메모하지 못한다. =>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받아 적는 습관을 들이자. 정면을 보고 걷는 습관을 기르자. 프리젠테이션..
청각뇌, 시노하라 요시토시 I. 사람 다음으로 청각적인 동물은 조류인데, 그 중에서도 노래를 하는 새들(명금류)이 사람에 가깝다. 앵무새, 잉꼬, 카나리아, 금화조 등은 발성기관 가지고 있으며, 뇌에는 그것을 조정하는 중추도 있다. 그들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울음소리를 커뮤니케이션에 이용한다. A. 닭등은 기관지를 오므리는 정도의 간단한 구조만 가지고 잇기 때문에 꼬끼오는 고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지 않는다. II. 청각의 성장은 나이와 더불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을 올려갑니다. 그리고 11세 정도에 완성합니다. A. 도중에 트라우마가 생기면 특정 주파수를 들을 수 있는 청력 장애가 발생하고, 그후 귀의 성장은 멈추어 버립니다. 그러므로 청취하지 못하는 주파수가 있다면 그것에 대응하는 나이에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