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정보력의 핵심 과정은 탐색 => 선택 => 정리 => 활용 이다. 옛날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정보를 다루는 태도나 규칙에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바로 의제 설정과 창출 능력이다. 자료, 경험, 상식, 소식, 사실 => 정보 => 지식 , 지혜 인터넷에서 수집한 정보는 누구나 공유하는 희소성이 낮은 자료로 이해하면 된다. 희소성이 낮다는 것은 중요한 정보보도 그렇지 않은 잡동사니 정보가 많고 쓸 수 있는 정보보도 버려야 하는 쓰레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의 생산과 순환 탐색=> 선택 => 정리=> 활용 => 목적 달성=> 평가 => 축적 --------------------------------------------------------------------- ================..
1977년 3월 37일 라스팔마스 쇼핑 중심 지역에 폭탄테러 발생, 라스팔마스 행 항공기를 테너라이프 쪽으로 우회… 로스로데오스 공항 병목… KLM기와 팬암기의 충돌… 같은 주파수를 사용. 관련성과 목적을 갖춘 데이터: 정보 - 파터 드러커 데이터는 그것을 창조한 자가 의미를 부여할 때 정보가 된다. - Thomas Davenport , Working Kowledge 정보=데이터+의미 정보를 우리가 사용 가능한 수준까지 내면화했을 때 이것을 지식이라고 부른다. 정보는 한 사회의 집단적 사고 속에 존재한다. 지식은 개인의 머리 속에 존재한다. 정보처리에 소비되는 비용은 증가하고 심지어는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정보관리에 시간을 소비하고 있지만 순익을 계산해 보면 실질적인 이익이 없다. 정보= 표현 +기호화..
지프의 법칙: 영어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the 라는 단어가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10개의 단어보다 10배나 많이 쓰이며,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100개의 단어보다는 100배나 더 많이 쓰이며,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1000개의 단어보다 1000배나 더 많이 쓰인다는 사실 아이디어가 전파되면…. 소비자로서 여러분은 아이디어 바이러스를 가까운 사람들에게 추천하며, 그 추천을 통해 영향력이 강력한 스니저로서의 위상이 더욱 높아지든지, 혹은 그렇게까지는 못 되더라도 마구잡이 스니저로서 인정받게 된다. 그것은 여러분이 동료들을 존경하는 마음에, 그들의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할 수 있게 추천하기 때문이다. 주위 사람이 권고해 준 말을 귀담아 듣는 사람 역시 이익을 얻는다. 아이디어를 받아들임으로써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