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생각의 함정, 자카리 쇼어, 무엇이 우리의 판단을 지배하는가 본문
노출불안의 최대의 피해를 초래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오류의 시인은 곧 나약한 모습을 노출하게 되는 것으로 오인되며, 이로 인해 오류를 범했음을 알아도 사람들은 그를 밀어붙인다…. 노출불안의 희생자는 오류를 인정하고 시정하는 것이 나약함의 표시가 아니라 힘의 표시라는 점을 결코 이해하지 못한다. 현실 세계에서는 우를 범한 경우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는 사람이 정직하고 책임감 있고 현명한 사람으로 여겨진다는 사실을 망각하는 것이다.
원인혼란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은 열린 마음이다. 우리는 현상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것이 불확실한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Flatland> 깊이의 개념이 없음. 평면도형들의 살고 있는 플렛랜드는 선의 수에 따라 계급화된 사회로 선을 많이 가진 도형일수록 사회적 계층이 높아진다. 화자인 사각형은 학교 교사이고 삼각형은 노동자라는 식… 최하층인 여성은 평면이 아니라 단순한 직선, 초고위층은 많은 선을 가진 존재로 진화하여 거의 동그라미의 형태를 띠게 된 사제 계급.
인지함벙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지만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원인은 감정이입과 상상력의 결핍 두 가지다. 상상력은 우리가 세계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 다른 사람의 감정으로 들어가서 그들의 내면 깊은 곳의 반응을 경험하는 것이다.
독신 남성… 대부분의 혼자 즐기며 사는 남성? … 교황?은
지나치게 많은 정보가 오히려 정신을 산만하게 만든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정보의 양은 관련이 없다. 문제는 정보량이 얼마든 간에 그것이 갖는 관련성이다.
눈을 통해 받아들이는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은 뇌에 있는데 바로 그 뇌의 기능이 손상이 됨… 다른 감각 이용… 메이는 발달된 다른 감각들을 시각적 데이터의 흐름과 협력할 수 있도록 이동.
'읽고 또 읽고 >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 만나는 놀이 치료, 김광웅 (0) | 2016.06.13 |
---|---|
감정의 도서관, 니콜라스 험프리 (0) | 2016.06.13 |
생의 수레바퀴,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0) | 2016.06.13 |
내가 누구인지 이제야 알았습니다, 닐 엔더슨 (0) | 2016.06.13 |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로렌 술레이터 (0) | 2016.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