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찰스 핸디의 포트폴리오 인생 본문

읽고 또 읽고/경영

찰스 핸디의 포트폴리오 인생

bangla 2016. 4. 6. 16:46
728x90
반응형

사람은 일생 동안 여러 역학을 소화한다 - 세익스피어… 요즘은 시차를 두고 여러 역할을 소화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여러 역할을 소화하기도 한다. 나는 젊은 시절에 나와 다를 뿐 아니라, 장소에 따라, 함께하는 사람들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그럴 경우 우리는 같은 사람인가, 아닌가? 우리를 바라보는 타인만이 아니라 우리 자신도 스스로를 혼동하고 있는 것일까?

   

옥스퍼드에서 철학을… "그렇다면, 괜찮을 걸세 자넨 할 수 있을 거야"

문득, 학위란 계속해서 배우라는 일종의 증서, 즉 배움의 시작이자 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경영을 배우려고 학교에 간다는 것은 당시 영국인들에게는 이상한 발상이었다. … 우리 학교는 실업학교가 아닙니다…. 1960년대 초반에 경영에 대한 필요성 인식…

   

자신감은 내 교육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다. 교육의 목적이란 결국 사람들에게 자기 삶을 책임질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일이다.

   

설교하지 말아요, 그리고 하나님을 문장의 주어로 쓰지 말아요. 사람들은 그런 표현을 싫어해요. 더구나 당신이 어떻게 하나님의 생각을 알아요? - 아내의 라디오 방송에 대한 커멘트

   

당시 사람들은 더 이상 스스로 생각하지 않았다. 법규는 엄격했고, 사제가 사람들의 모든 행동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했다. 이는 기쁨이 아니라 두려움의 종교였다…. 기업에도 비행을 저지르면 무조건 고백성사를 해야 한다는 의무조항이 있다고 가정해보라…. 그런 조직은 필연적으로 개인의 창의력과 활력을 고갈시킨다. 이런 조직에서는 할 일에 대한 생각과 결정권을 상사에게 맡기는 것이 훨씬 편하기 때문에 사람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다.

   

교황 바오로 2 세는 카리스마를 겸비한 참으로 고결한 분이었다. 하지만 교환의 빼어난 인품이 그의 사회적 가르침에 크게 보탬에 되지는 못했다…. 서구인들은 사람 자체와 그의 가르침을 구별해서 생각했다. 역설적이게도, 인간적으로 더 없이 추앙받았던 요한 바오로 2세가 교황으로 재직하는 동안 교회의 권위는 약화되었다. 사람들은 오히려 교리와 무관하게 사람 자체를 사랑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던 것이다. 확장해보면 이는 우리가 율법을 떼놓고 신을 가질 수 있고, 귀찮은 도덕적 의무를 때놓고도 영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일단 규제를 무시하면 본인이 좋아하는 대로 할 수 있게 된다.

   

아담 스미스는 모든 사람의 생활이 한결 편해진다는 면에서는 경제성장이 분명 좋은 것이지만, 너무 오래 너무 많은 성장이 이루어지면 온갖 불필요한 물건이 넘쳐나는 부작용이 야기될 것이라고 말했다.

   

… 경제학자들의 입장에서는 탐욕, 시샘, 대식 등은 죄악이 아니라 번영의 토대다.

   

당신들 영국인은 이상합니다. 개는 집에 두면서 자식은 사육장에 맡겨서 키우다니 말입니다. - 독일인 친구가… 기숙제로 운영되는 중고등학교.

   

어쩌면 장수가 문제일지도 모른다. 빅토리아 시대… 결혼 지속시간이 15년, 둘중 하나가 일찍 죽어서.

지금은 죽지 않고 떠나는 것이 다르지만 평균 결혼 기간은 15년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유대인의 전통인 생전유서에는 상속인들에 물건이나 돈 이외의 자신의 신앙과 가치관을 물려준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상속인들이 생활 속에서 신앙과 가치관을 실천하기 바라는 마음을 담은 것이다.

   

임종훈련은 내가 정말 중요한 일에 집중하도록 해준다. 다들 그렇듯이 나도 항상 결심한 대로 지키지는 못하지만, 다행인 것은 나이가 들수록 결심을 지키기가 한결 쉬워진다는 사실이다. 야망이 시들해지고, 겉보기에 나보다 성공한 것 같은 타인에 대한 시샘도 마찬가지로 시들해진다. 야망과 시샘이 시들해지는 주된 이유는 오래전에 기회가 지나가 버렸기 때문이다. 또한 그쯤 되면 현실에 맞춰 편안하게 살고자 자신의 과거와 실패를 합리화하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수록 잘 보이고 싶은 대상도 줄어들게 마련이다.

   

럭비… 감독님… 제일 어려운 점이?

"혈기 넘치는 선수들에게 경기에서 뛸 날이 서른 이전에 끝난다는 사실을 납득시키고, 다른 직업을 위해 재훈련을 받도록 유도하는 일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필요한 자금이 줄어든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활동 포트폴리오를 어떤 식으로 짜든 일부는 돈을 버는 활동이어야 한다. 돈이 실질적으로 유익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여전히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자신감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