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Fast Second, 신시장을 지배하는 재빠른 2등 전략, 콘스탄티노스 마르키데스 본문

읽고 또 읽고/경영

Fast Second, 신시장을 지배하는 재빠른 2등 전략, 콘스탄티노스 마르키데스

bangla 2016. 4. 6. 16:39
728x90
반응형

   

   

   

중대한 변화

Major Innovation

Radical Innovation

부수적 변화

Incremental Innovation

Strategic Innovation

  

개선

파괴

기존의 기업의 역량과 자산에 대한 영향

   

근본적인 혁신은 사용자가 아니라 공급자에 의해 유발 된다.

   

Joseph May, 1872년 대서양 횡단 해저 케이블 공사에서 보수작업을 하다가 셀레늄이라는 물질인 전기를 전도할 때 빛에 의...

 

근본적인 혁신은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파괴적이다.

새로운 제품과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소비 습관과 행동을 바꾸어놓는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파괴적이다. 또 기존 경쟁자들이 성공 요소로 삼았던 역량과 필요 자산을 무력화한다는 점에서 생산자에게도 파괴적이다.

   

근본적인 혁신은 수요 측면이 아닌 공급 측면에서 시작한다.

   

근본적 혁신은 시장을 만들지만 완성하지는 못한다.

   

근본적 혁신은 합리와 과정을 통해 대중시장으로 성장한다.

   

네트워크 효과란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선택을 함으로써 참여자 모두가 혜택을 받는 상황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효과는 원칙적으로 소비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발생한다. 그러나 새로운 제품에 대한 소비자 혹은 사용자가 충분히 많아서 주변기기 등 보완적 제품의 생산을 자극할 수 있을 때도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생산자가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을 하게끔 소비자들이 신호를 보낼 수 있다면 이것도 네트워크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지배적 디자인은 시장 통합의 열쇠이다. 표준 혹은 플랫폼. 플랫폼은 기본적인 동일성은 유지하면서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는 바탕을 의미한다. 즉 지배적 디자인은 제품의 핵심적 속성, 기능, 성능 등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규정한다. 이 표준은 일단 정착되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고 시장을 통합한다.

   

지배적 디자인의 등장은 시장 통합에 몇 가지 의의를 갖는다.

  • 지배적 디자인은 새로운 제품의 대중화를 촉진시킨다.
  • 지배적 디자인은 네트워크 효과를 발생시킨다.
  • 지배적 디자인을 정착시킨 기업은 시장을 주도한다.
  • 지배적 디자인의 등장은 틈새시장을 대중시장으로 성장시킨다.

       

  • 가격
  • 타깃 시장
  • 유통
  • 제휴 전략
  • 확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일에 투자

밴드웨건

효과 창출

소비자들이

신뢰하는 매장으로

진출

틈새시장에서

살아남은

기업들과의 제휴

지배적

디자인 출현

정착에 대한 인정

   

   

소비자의 습관과

행동에 대한 영향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