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공병호의 창조경영 본문

읽고 또 읽고/경영

공병호의 창조경영

bangla 2016. 4. 6. 16:33
728x90
반응형

기업 경영의 본질

  • 당신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 당신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더 많이, 더 빨리 더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 당신이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도요타, 완벽함을 향한 끊임없는 추구, 지속적인 개선과 인간존중.

    => 개선: 고객의 눈을 통해 프로세스의 부가가치 활동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들을 제거하는 것.

    부가가치 활동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은 과잉 생산, 작업 대기, 불필요한 수송 또는 운반, 과도한 공정 처리 혹은 부정확한 공정, 과잉 재고, 불필요한 동작, 결함, 종업원의 창의성을 활용하지 않은 것 등 모두 8가지 원인으로부터 발생한다.

       

       

    개선, 혁신, 창조경영

       

    력서리 기업은 최소 15년 정도의 전통이 필요합니다. 한국 기업가들의 진취적인 비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브랜드를 만들어내는 데 어려움… Michael Sileverstein, BSC 부회장

       

    젊은이들이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듣고 싶어하는 욕구가 잇다는 점을 먼저 착안한 사람은 당시에 70세가 넘는 마사루였고, 이 아이디어를 듣고 대히트를 예감한 사람은 60세가 된 모리타였다.

       

    도요타 자동차 수뇌부는 사업이란 결국 타이밍이라는 점을 정확하기 인식하고 잇다. 위험이 따르긴 하지만 더 이상 고급차 시장을 늦추어선 안 된다는 점을 알고 있음. 도요타의 중형차를 신뢰하는 베이이비 붐 세대가 나이를 들면서 구매력을 갖게 되었고, 이들이 다른 브랜드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면 대단한 사업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나는 이베이를 1995년 취미로 만듬. 출근해야 했기 때문에 불평을 접수하고 피드백을 수용할 수 잇는 시스템이 필요. 즉 중앙에 큰 개입 없이 이용자의 필요에 대응하는 자주적인 시스템이 필요. 나는 여러분에게 "미래를 위해 인생을 유연하게 디자인하라. 인생의 과거는 나중에 돌이켜보면 리니어적(선형적)이지만 미래마저 하나의 해법으로 묶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터프츠 대학 졸업식연설, 피에르 오미디아르

       

  • 동기: 나는 인생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 호기심: 나는 흥미를 느끼는 것이 있으면 시간을 내어 그것을 따라가는가? 흥미를 자극하는 것들에 대해 매일 배우고 있는가? 매일 즐겁게 보내고 있는가? 그 즐거움에 만족하는가, 아니면 아쉬움을 느끼는가? 단지 다른 사람이 하기 때문에, 또는 다른 사람이 시키니까 일을 하고 있는가?
  • 두려움과 스트레스: 아직 설익은 아이디어라 해도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할 수 있는가? 주위 사람들의 생각과 다른 의견을 당당히 표현할 수 있는가?
  • 연결 파괴: 뭔가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움직일 때 그것을 수용할 수 있는가? 중요한 문제에서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가? 환상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엉뚱해질 수 있는가? 뭔가가 이해되지 않을 때 느껴지는 불확실한 상태를 견딜 수 있는가?
  • 연결 수립: 자신이 생각해낸 것이든 남이 생각해낸 것이든 새로운 아이디어를 좋아하는가? 스스로 생각해낸 아이디어가 마음에 드는가? 새롭고 재미있는 아이디어에 즐거워할 수 있는가? 지금 당장 주어진 문제나 기회에 관해 우스꽝스러운 아이디어 다섯 가지를 생각해낼 수 있는가?
  • 창의적 평가능력: 새로운 아이디어가 지닌 가치를 볼 수 있는가? 어떤 아이디어가 일부는 흥미롭고 일부는 훌륭하고 일부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는가? 아이디어는 메뉴처럼 훌륭하고 일부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는가? 아이디어는 메뉴처럼 변할 수 있고, 옷처럼 다양할 수 있고, 찰흙처럼 빚어질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실효성 없는 아이디어라 해도 흥미를 가질 수 있는가?
  • 자신감: 시간이 걸리더라도 결국은 어떤 문제나 기회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다른 사람들의 아이디어에 귀를 기울이고,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는 이용하고, 문제가 있는 아이디어는 보완할 수 있는가?
  • 혁신능력: 당신의 아이디어가 훌륭하고, 충분히 노력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그 아이디어를 인정하고 있는가?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어느 정도까지 타협할 수 있는가?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어느 정도까지 타협할 수 있는가? 나에게 중요한 것을 결국 이루어낼 수 있다고 느끼는가?
  • 제프 모지 Jeff Mauzy, 창의력 주식회사

       

    우수한 인재가 지나치게 많은 업무를 맡다 보면 그 사람이 지니고 있는 가장 소중한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소중한 능력이란 '새로운 것을 창출해내는 능력'을 말한다.

       

    나는 무엇을 손에 받아들고 잘게 자른다.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 안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보기 위해서 자르는 것이다. 규율은 능동적인 것이다. 나는 삶을 손에 받아든다. 나는 그것을 잘 들여다보고, 내가 정말로 살려면,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직접 살려면 그것을 어떻게 잘게 나누어야 할지 숙고한다.

       

    빙켄의 힐데가르트는 규율이 우리가 어디에서든 항상 기뻐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한다. 우리는 규율 안에서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 자체를 '사는' 것을, 우리의 삶은 손에 넣어 형태를 만드는 것을 배운다. -안세름 그륀, 삶의 기술

       

    해상전 경험이 없었던 로마의 승리… 일본에는 이륜차의 전통이 없다. 따라서 오토바이에는 무엇과 무엇을 달아야 한다는 정설도 없다. 그래서 나는 이륜차의 전통이 있는 나라의 기술자라면 절대로 만들 수 없는 오토바이를 만들었다. - 로마인에게 묻는 20가지 질문, 시오노 나나미

       

    비즈니스를 잘 하는 일은 최고의 예술이다. - Andrew Warhola 앤디 워홀

       

    에디슨은 사실 집합명사이며 많은 사람의 이름을 대표합니다. 14명의 팀원이 이루어낸 작품 - Francis Jehl 에디슨 조수

       

    최강의 팀을 구축하기 위해서

    문화인류학자(조직에 새로운 학습과 통찰을 가져오는 사람), 실험자(끊임없이 프로토타이이핑하고 모험적인 실험을 하는 사람), 타화수분자(새로운 영감과 통찰을 기업에 필요와 접목시키는 사람), 허들러(장애물 극복, 제거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사람), 협력자 (그룹간에 새로운 형태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사람), 디렉터 (사람들을 모으고 창의적인 재능에 불꽃을 일으키는 사람), 경험건축가 (아주 깊은 수준에서 고객의 발현된 혹은 잠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사람), 무대연출가(물리적 환경을 이노베이션의 강력한 도구로 바꾸는 사람), 케어기버(서비스 차원을 넘어 고객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사람), 그리고 스토리 텔러(기업문화를 강화하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개발하는 사람). - 톰켈리, 이노베이터의 10가지 얼굴

       

    모래는 각각 흩어지면 힘이 없다. 의미가 없다. 가치가 없다. 수많은 비슷한 모래들이 서로 연합하여 뭉쳐야 제방을 쌓아 바닷물을 막을 수 있다. 개개의 모래들은 물에 휩쓸려 떠내려간다. 바닷물은 세상살이의 파도 또는 사탄의 세력을 뜻한다. 따라서 유대인은 하나로 뭉쳐 악의 세력을 막으라는 뜻이다. 둘째, 하늘의 별은 캄캄한 밤에 홀로도 빛을 발할 수 있다. 이것은 유대인은 공동체 속에서 각자 어디에 있더라도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인간이 되라는 뜻이다. 즉 아브라함의 자손들이 언제나 모래알과 별과 같이 상충되는 역할을 조화롭게 수행하라는 뜻이다. - 현용수, 자녀들아 돈은 이렇게 벌고 이렇게 써라.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