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리리딩, 깊이 읽기의 기술, 퍼트리샤 마이어 스팩스 본문
728x90
반응형
다시 읽기는 또한 과거의 자아를 기억해내게 하는, 다른 종류의 안전함을 제공해준다.
… 이런 일반적인 과정들은 의식을 지닌 존재인 우리 자신을 연결하는 고리와도 같다. 그것은 우리의 흩어진 정체성의 조각들을 한데 묶어준다.
다시 읽은 책들이 주는 안정성을 통해 우리는 견고한 자아상을 구출할 수 있다. 이는 경험으로서 다시 읽기가 지닌 심오한 측면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적이다.
다시 읽기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읽은 책들이 그렇듯 우리가 얼마나 변했고 또 그대로인지를 좀 더 선명하게 대면한다. 책은 우리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며, 또한 다시 읽기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정체성의 변화를 측정하게 해준다.
소설의 부상.
읽어야만 하는 책이 존재하는가?
미로
반응형
'읽고 또 읽고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인문독서의 기적, 임성미, 인성, 통찰력, 학습력을 모두 잡는 인문독서 실천 로드맵 (0) | 2017.06.21 |
---|---|
청춘의 독서, 유시민 (0) | 2016.06.04 |
세계 전자책 시장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류영호 (0) | 2016.04.29 |
느리게 읽기, 데이비드 미킥스 (0) | 2016.04.28 |
단단한 독서, 에밀 파게 (0) | 2016.04.2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