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탁월한 조직이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 패트릭 렌시오니 본문
728x90
반응형
정치란 사람들이 해야 할 말과 행동을 선택할 때 자기가 실제로 생각하고 있는 바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에 따르는 것을 말합니다.
화면 캡처: 2009-10-12, 오후 6:23
신뢰란 모두가 내편이라는 생각과는 다른 겁니다. 서로 신뢰한다고 해서 상대에게 압박을 가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도 안 되죠. 신뢰란 팀의 구성원이 언제 동료를 압박해야 할지 그 때를 아는 것입니다. 팀에 애정을 갖고 있는 때문에 그 일을 하는 것입니다.
- 첫번째 함정은 팀 구성원들 사이의 신뢰의 결핍이다. 본질적으로 그것은 집단 내에서 사람들이 기꺼이 동료의 비판을 받아들일 각오가 되어 있지 않을 때 발생한다. 서로에게 진심으로 마음을 열고 상대의 실수와 약점에 대해 언급할 수 없는 구성원들이 신뢰 기반을 쌓기란 쉽지 않다.
- 신뢰 쌓기의 실패는 사람들 사이에서 두번째 함정, 즉 '충돌의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신뢰가 없는 팀은 상대방의 생각에 대해 거리낌없이 격렬한 논쟁을 벌일 수가 없다. 그 대신 그들은 솔직하지 않은 토론과 자기 방어적인 수사법에 의존하게 된다.
- 건전한 충돌의 결핍은 세번째 함정, 즉 헌신의 결핍을 초래한다. 치열하고 개방적인 충돌 속에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지 못한다면 팀의 구성원들이 주어진 결정 사항을 진심으로 받아들여 매진하기란 어렵다. 물론 회의 중에는 동의한다는 의사를 얼마든지 거짓으로 꾸며낼 수 있다.
- 진정한 헌신과 매진의 결여 때문에 팀의 구성원은 책임의 회피를 몸에 익히게 된다. 그것이 네번째 함정이다. 명확한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에 전념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집중력과 추진력이 강한 사람이라도 팀의 목표에 어긋나는 결과를 야기하게끔 행동한 동료에게 책임 추궁하기가 꺼려지는 게 보통이다.
- 서로에게 책임을 묻는데 실패하면 다섯번째 함정이 활개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결과에 대한 무관심은 팀의 구성원들이 개인적 욕구(자아, 경력 쌓기, 혹은 대외인지도 등과 같은 것)나 자기 부서의 욕구를 팀의 공동 목표보다 앞에 놓을 때 발생한다.
신뢰하는 팀…
- 그들은 서로를 신뢰한다.
- 그들은 거리낌 없이 의견 충돌을 일으킨다.
- 그들은 한번 내려진 결정과 실행 계획에 헌신한다.
- 그들은 정해진 계획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을 경우 반드시 책임을 묻는다.
- 그들은 공동의 결과를 성취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신뢰하는 팀원들은
- 약점과 실수를 시인한다.
- 기꺼이 도움을 청한다.
- 자신의 책임 영역에 대해 제기되는 의문과 정보를 수용한다.
- 부정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전에 서로에게 '의심의 혜택'을 제공한다.
- 위험을 감수하고 기꺼이 피드백과 도움을 제공한다.
- 동료들의 기술과 경험을 인정하고 활용한다.
- 정치적인 사안이 아니라 정말로 중요한 문제에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한다.
- 주저 없이 사과하고 또 상대방의 사과를 수용한다.
- 회의 시간을 비롯하여 집단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환영한다.
반응형
'읽고 또 읽고 >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의 기술, MAP 자문단 (0) | 2016.04.08 |
---|---|
경영의 미래 , 게리 해멀 (0) | 2016.04.06 |
하이퍼포머 팀장매뉴얼, 류랑도 (0) | 2016.04.06 |
비즈니스 스쿨, 마인드편, 이면희 (0) | 2016.04.06 |
하이퍼포머 리더, 류량도 (0) | 2016.04.0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