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아마존처럼 회의하라, 사토 마사유키 본문
728x90
반응형
- 아마존에서는 론칭한 사람이라고 해서 높은 평가를 받지 않는다. 론칭하고 나서 KPI를 관리하고 정상 업무 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어야 비로소 잘했다는 말을 듣는다. 물론 사람에 따라서 잘하고 못하는 일은 있겠지만, CA를 더 의식하면 좋을 것이다.
2022-01-02 06:51:56 - 베조스는 “남의 선의에 기대어 업무를 해서는 안 된다.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Good Intention does not work, only mechanism works”라고 말하곤 했다. 수치화 또는 구조화를 통해 누가 하더라도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2022-01-02 06:12:02 - 데이터는 들어오는 구조가 갖춰져 있어야 얻을 수 있다
2022-01-02 06:11:22 - 허리케인 피해 지역에서 철수하는 기준 중의 하나가 널어놓은 세탁물의 숫자다. 단순하지만, 세탁물이 있다는 것은 세탁기를 돌리기 위해 전기와 수도를 쓸 수 있는 증거가 된다. 그리고 전기와 물이 공급된다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뜻다.
2022-01-02 06:09:25 - KPI와 관련해 흔히 하는 실수가 KGIKey Goal Indicatior(핵심 목표 지표)를 KPI로 착각하는 것이다. 회사 전체 매출, 신규 고객 수, 이익률 등이 KGI에 해당한다.
2022-01-02 06:03:14 - 자료를 회의 전에 미리 메일로 보냈더라도 1페이저는 5분, 6페이저는 15분에 걸쳐 반드시 읽는 시간을 가진다. 이때 중요한 것은 침묵을 지키는 일이다. 그동안에는 질문을 일절 받지 않는다.
2022-01-01 20:49:49 - 아마존에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프로젝트가 제안된다. 그런데 신규 프로젝트가 론칭될 때 항상 사용되는 포맷이 바로 보도자료 형식이다.
2022-01-01 20:44:41
반응형
'읽고 또 읽고 > 실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행복합시다, 김형석 (0) | 2022.08.31 |
---|---|
강원국의 어른답게 말합니다 (0) | 2022.08.31 |
나는 101세, 현역 의사입니다, 다나카 요시오 (0) | 2022.08.30 |
글쓰기 훈련소, 간단하고 쉽게 글 잘 쓰는 전략 임정섭 (0) | 2018.05.22 |
문구의 모험, 당신이 사랑한 파랑만장한 연대기 (0) | 2018.05.2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