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2017 트렌드 노트, 빅데이터에서 재발견한 비즈니스 키워드 본문
728x90
반응형
평타 의존증
랜선이모
나의 책상
을 사진으로 인증하고 댓글을 통해 타 멤버와 소통하는 규칙을 지
키지 않으면 동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등업을요구하는 게시
판에 기재된 핵심정보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커뮤
니티에서 일정 등급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열람할 수 없는 게시
판은 다름아닌 연봉공개 항목이다.
나의 분신, 책상으로 인중한 우리들만 볼 수 있는 '숫자' 정보
를 통에 직장인들은 비로소 나 를 실감한다. 작은 공간이나마 자
신의 의지로 지키고 꾸미고 애착을 표하며 '나를 담미하던 사람들
이 에씨 노력해 도달한 답이 그저 '숫자' 라니, 참으로 맥 빠지는 결
론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직장인이 연봉 정보를 중요하게 여기는 데에는 이유가 있
다. 도돌이표 시간, 간한 공간 속에서 나' 를 일고 불인에 따진 직장
인에게 명시적인 '나' 를 인지하고 인정하게 해주는 유일한 것이 바
로 이 숫자들 아닌가.
덕후 레벨
- 본다
- 산다
- 만든다
- 내가 된다
덕질
반응형
'읽고 또 읽고 >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적의 시간,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라, 서울공대 26명의 석학이 던지는 한국 산업의 미래를 위한 제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0) | 2017.06.21 |
---|---|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선택, 결정적 1% , 사소하지만 멍청한 선택, Misbehaving, 리처드 탈러 (0) | 2017.06.21 |
IT 빅픽처, 다가올 미래, 이기근 (0) | 2017.02.25 |
볼드, 새로운 풍요의 시대가 온다, 피터 디아만디스 (0) | 2017.02.25 |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신현준 (0) | 2017.02.2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