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생체인식 시장, 홍체 인식 및 홍체 복제에 관련된 조사, 홍체 인식에 대한 리크스 본문

스크랩/시장

생체인식 시장, 홍체 인식 및 홍체 복제에 관련된 조사, 홍체 인식에 대한 리크스

bangla 2017. 3. 22. 16:04
728x90
반응형

 

1.    은행 ATM 생체 인식 적용

-       2001년 우리은행 지문인식 적용 à 실패. 당시 비밀번호 이외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       2005년 부산은행/외환은행 안면인식 적용 à 실패, 낮은 인식율과 불편함

-       최근 비대면 거래의 증가 및 공인인증 의무화 폐지등으로 보안 이슈화

2.    은행별 동향

-       신한은행 : 손바닥 정맥기술 적용, 12월 시범실시(일본서 기 상용화된 후지쯔 기술 채용)

-       IBK 기업은행 : 홍채 인식을 ATM 및 대여금고에 적용(이리언스 MOU 체결)

-       하나은행, 우리은행 : 연내 지문인식 적용 시범 실시

-       금융감독원 : 안면인식 적용 추진(마스크, 선글라스, 헬멧 착용시 이용 불가)

3.    생체인식이 은행권(특히 비대면 거래)에서 적용되는 것은 기정사실화, 하지만 아직 어떤 생체인식이 적용될지는 불확실함

 

 

홍채 복제 risk 관련 검토 ---------------------------------------------------------------------------------

 

1.    홍채 복제 risk가 높다?

-       최근 크루셜텍 발표 기사중 홍채나 안면인식 등 다른 생체정보보다 보안성이 높다. 홍채나 안면인식은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를 활용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복제가 가능하다는 내용에 대한 조사

è 일반 고해상도 카메라로 홍채를 촬영시 패턴을 capture할 수 있는가?

-       고해상도의 이미지가 있다면, 지문과 홍채 모두 복제가 가능하다라는 Fobes의 기사

n  일반적인 상황에서 이러한 고해상도의 사진을 얻기는 쉽지 않으나, 상기 예시처럼 선거용 포스터사진등에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가지고, 홍채 패턴을 capture해 낼 수 있었음

n  지문역시 고해상도의 손 이미지사진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복제가 가능하였음

 

2.    홍채 복제 risk는 높지 않다

-       일반 가시광선 파장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일반카메라로 홍채이미지를 촬영하면 주변의 사물에 반사되는 반사광들이 홍채 영역에 맺혀 홍채 이미지를 가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이 홍채인식의 정확도를 많이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홍채인식용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파장대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       IR LED를 일반 휴대폰에 장착시 그 가시거리는 1m이내이고, 원거리 촬영은 불가능하다

-       IR cam으로 근접촬영이 가능하다면, 패턴 capture에 대한 risk는 있고, 고해상도 일반 카메라를 통한 패턴 capture도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일상에서 그런 고해상도의 홍채사진을 얻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n  패턴을 capture할 수는 있으나, 그 사진을 홍채인식용 IR cam으로 촬영하면, 반사도의 차이로 인식이 되지 않음

n  이미지처리 알고리즘부터 패턴 매칭 알고리즘까지 해킹이 되고, 그 사이에 capture된 이미지를 끼워 넣을 수 있어야 하는데, 업체별로 알고리즘이 다르고, 암호화처리등의 방법을 거치므로, 그 확률은 높지 않음

n  안면인식은 촬영된 일반 사진으로도 인식이 되고, 지문인식은 테이프나 실리콘으로 복제된 패턴으로도 인식이 되는등 보안 측면에서 홍채보다 취약함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