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인간의 두얼굴, EBS 제작팀, 김지승 본문
728x90
반응형
애매하고 불확실한 상황에 놓일 경우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 근거와 합리성을 타인과 집단으로부터 얻으려고 한다는 것이다.
썩은 사과(개인)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썩은 상자(잘못된 상황)의 영향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
통제력 착각 illusion of control… 실제로 국가 통치자 중에는 주변국의 어떤 변화가 (사실은 그렇지 않음에도) 자신의 연설이나 정책 방향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많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취향대로 물건을 선택한다고 믿지만, 그 취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가 있다는 사실은 쉽게 간과함.
권위라는 것은 결국 우리가 그들에게 부여하는 게 아니던가.
영국 학자 C.S. 루이스는 인간이 선과 악의 경계를 넘도록 하는 강력한 힘은, 집단에서 배척당하지 않고 거기에 소속되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구에서 나온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배제되는 경험을 하면 우리 뇌에서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냐면, 신체적으로 우리가 아픔을 당할 대 활성화되는 바로 그 부위가 활성화 됩니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그 사람들 속에 포함되려는 아주 강력한 동기가 있다는 겁니다.
아기들은 자신의 울음소리에는 반응하지 않고 다른 아기의 울음소리를 듣고 따라 울었던 것이다. 신생아성 반응울음.
반응형
'읽고 또 읽고 >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시니 참 좋았다, 박완서 (0) | 2016.06.13 |
---|---|
데이빗 시먼스, 탓 (0) | 2016.06.13 |
기도 입히는 엄마, 체리 풀러 (0) | 2016.06.13 |
How to be happy, 소나 류보머스키 (0) | 2016.06.13 |
부스러기가 꽃이 되다, 강명순 (0) | 2016.06.1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