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거짓말 심리학, 시부야 쇼조 본문

읽고 또 읽고/심리

거짓말 심리학, 시부야 쇼조

bangla 2016. 6. 13. 11:55
728x90
반응형

어린이가 부모에게 처음으로 거짓말을 제대로 했을 때, 어린이는 절대적이었던 부모의 속박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어린이는 의존 대상이었던 부모로부터 자립할 수 있음…

   

어린아이가 능숙하게 거짓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예가 순조롭게 지적 발달이 되고 있는 증거라고도 할 수 있는 것.

   

사춘기는 이런 의미에서 그때까지 가르침을 받은 도덕 관념과 때로는 거짓말도 필요하다는 사회 통념의 갭을 깨닫고 그것을 극복해야 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최종적인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영 연습… 셀프 핸디키핑이 있는 사람은… 연습안하고 핑계… '연습 부족'이라는 핸디캡을 스스로에게 부과함.

   

권태기의 남녀는 둘이서 조금 힘이 드는 스포츠를 하거나 품을 춘 후에 침대로 가면 어떨까. 여느 때와는 다리 흥분이 되살아날 것임에 틀림없다.

   

역광이 되면 표정이나 동공의 변화를 알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자신의 동공이 확대되므로 가짜 호의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안합니다. 카피를 해야 하니까 먼저 좀 할 수 없을까요?" 93% 허락(사실 이유가 없는 것임)

"바쁘니까 먼저 좀 할 수 없을까요?" 94% 허락

먼저 좀 할 수 없을까요? => 6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