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댄 앨리얼리 본문

읽고 또 읽고/심리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댄 앨리얼리

bangla 2016. 3. 25. 13:44
728x90
반응형
 

도덕은 예술과 마찬가지로 어딘가에 어떤 선 하나를 긋는 것은 의미한다. - 오스카 와일드.

문제는 이 선의 위치가 어디인가 하는 것이다.

   

다른 스포츠와 달리 골프에는 심판이 없다.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반칙을 했는지 판단하는 사람은 경기를 하는 자기 자신. 골퍼는 기업과 마찬가지로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또 무엇을 해서는 안 되는지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 경기를 하거나 기업을 경영하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 동안 그들은 감시를 받지 않고 혼자 선택하고 행동하기 때문.

   

세상 사람들 중 1%는 어떤 일이 있어도 절대 남의 물건을 훔치지 않지요. 또 1%는 어떻게든 자물쇠를 열어 남의 것을 훔치려 합니다. 나머지 98%는 조건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 동안에만 정직한 사람으로 남습니다. 이 사람들은 강한 유혹을 느끼면 얼마든지 정직하지 않은 사람 쪽으로 옮겨갑니다. 당신이 아무리 자물쇠로 문을 꼭꼭 잠가도 도둑이 털려고 마음먹는다면 얼마든지 당신 집에 침입할 수 있습니다. 자물쇠는 문이 잠겨 있지 않았을 때 유혹을 느낄 수 있는, 대체로 정직한 사람들의 침입을 막아줄 뿐이지요.

   

   

   

 

 

어떤 유혹에 맞닥뜨렸을 때 거기서 등을 돌리기란 매우 어려우므로 그 열정의 불길 속으로 빨려들기 전에 그것를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현실적으로 유혹에 맞서 싸우는 것보다는 아예 유혹을 피하는 것이 한결 쉽다.

   

골퍼를 칠 때 사람들은 작은 공을 멀리 날려 보내, 그것도 수많은 장애물을 피해 아주 작은 구멍에 집어넣는다. 이는 매우 어렵고 한편으로 짜증나는 일이다. 그러니 스스로 자기 행동을 판단할 때는 관대해질 수 밖에 벗다.

   

35를 기억해야 했던 사람들은 7581280을 기억해야 했던 사람들보다 과일 샐러드를 더 많이 선택했다. 일곱 자리 숫자를 기억해야 했던 사람들은 그 작업에 인지 기능을 더 많이 써야 했기 때문에 본능적인 욕구에 저항할 힘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따라서 즉각적으로 만족을 주는 초콜릿케이크의 유혹에 더 많이 굴복했다.

   

   

   

   

   

우리가 저지르는 부정행위는 우리가 처음 느낀 어떤 불쾌함을 보상받기 위한 일종의 보복일 수 있다. 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나쁜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똑같이 되갚아 주는 것뿐이라고, 심지어 이런 자기합리화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는 단지 공정성을 회복함으로써 세상을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 모두를 위해 정의의 성전을 펼치는 것이라고!

   

불륜은 비용편익분석에 관한 것이 아니다. 또한 불륜의 경향성은 무엇보다도 스스로에게 이것이 정당성을 합리화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지, 어떤 기회가 주어지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결정 되지 않는다. 키스처럼 아주 작은 행동은 시간이 지날수록 불륜의 강에 더 깊이 빠져들게 만드는 또 다른 요인이다.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정직하지 못할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부정행위를 결정하는 요인(표)

 

   

   

자아 고갈의 이런 특성 때문에 사람들은 하루가 끝나가는 저녁에 특히 자제력을 잃기 쉽다. 하루 종일 이성적으로 행동하려 애쓰다가 저녁이 되면 뇌가 지친 나머지 욕망에 쉽게 굴복하고 마는 것이다. 하루 종일 유혹에 저항하다가 밤늦은 시각에 허겁지겁 야식을 먹는 사람의 모습을 떠올려 보라.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