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비주얼 플레닝, 정택룡 본문

읽고 또 읽고/경영

비주얼 플레닝, 정택룡

bangla 2016. 4. 14. 16:42
728x90
반응형

일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잘못된 점을 정하기… 단지 경험 많은 기술자나 숙련가의 지혜를 통해 미리 장애요인을 찾는 것.

   

비주얼 플래닝의 목적은 신뢰, 재미, 자부심을 추구하는 조직의 활성화이고, 그 목표는 지적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회사는 경영이익을 창출하고 개인은 자기혁신을 이루는 것이다. 비주얼 플래닝의 절대적 고객은 직원이다. 따라서 그들이 창의성을 발휘하며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목표를 향해 자신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비주얼 플래닝을 통해 여유로움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기술부분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

소통의 부재, 과다한 업무, 미진한 업무관가, 불확실한 계획, 자기계발의 기회가 없음.

   

업무 진행과 관련한 자료들을 모두 벽보에 붙이도록 해서 소통에 성공.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조직은 구성원들이 경직되어 있으며 업무에도 소극적이고 자기 방어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자기 일에 대한 책임감도 없고 시키는 것만 한다. 그러다 보니 성취감이나 자부심도 없다.

   

   

   

   


비주얼 플래닝의 활동 5원칙

  • 전원이 평등한 상태로 참여한다.
  • 원칙을 지키면 다른 제약은 없다.
  •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활동한다.
  • 모든 과정에서 창의성을 발휘한다.
  • 웃고 보고, 듣고, 떠든다.

       

    비주얼 플래닝의 발표 4원칙

  • 반드시 VP 보드를 사용하여 이행한 일, 알게 된 점, 다음에 할일 등 세 부분의 내용을 구성한다.
  • 팀장이나, 베테랑, 신입 등의 호칭 및 대일정, 중일정, 소일정, OJT, 의사소통, 팀워크, 업무분담 등의 용어를 개념적으로 정확히 규정한 뒤 사용한다.
  • 자신의 체험을 충분히 살려 생생한 목소리로 발표한다.
  • 전체 구성원의 성장과 변화를 서로 확인한다.

       

       

    비주얼 플래닝 진단체계

       

    기존 계획에 대한 검토사항

  • 당위성에 집착한 계획: 구체적인 내용은 없이 '해야 한다'는 강제성만 있는 것이 아닌지 따져본다.
  • 업무의 우선순위가 명확하지 않은 계획: 여러 항목이 단순히 열거만 되어 있으며 어느 것부터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 언급이 없다면 그런 점을 지적한다.
  • 업무의 장애요소에 대한 해결책이 결여된 계획: 사전에 검토해야 할 부분이 제대로 검토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 돌발업무에 대한 고려가 없는 계획: 돌발업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대응 시간이 들어 있는지 확인한다.

       

    업무의 질적, 양적 측면에 대한 검토사항.

  • 과도한 업무량: 평소 업무량이 많다고 느낀다면,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인지 계산해 본다.
  • 업무의 편중: 업무가 특정인에게 집중되어 있거나, 중견연구원에게 쉬운 기술만 배정되었는지 또는 잡무가 균등하게 배정되어 있는지 따져본다.

       

    업무 재조정에 대한 검토사항

  • 불균형한 업무분담: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중견연구원에게 너무 많은 업무가 집중되기 쉬운데, 그럴 경우 재분담해 줄 필요가 있는지 살펴본다.
  • 불명확한 업무분장: 어떤 업무 항목이 누락되어 있는지, 그렇다면 누가 그 일을 해야 하는지를 검토한다.
  • 업무의 난이도 문제: 경험이 없는 신입직원에게 너무 어려운 과제를 부여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 혼란한 업무지시: 과장/팀장의 지시가 서로 불일치한 면이 있는지 살펴본다.

       

    의사소통에 대한 검토사항

  • 상사의 일방적인 지시
  • 업무의 난이도에 대한 수준 차이
  • 상사의 지시를 소홀이 하는 담당자
  • 기본적인 의사소통 결여

       

    기술축적에 대한 검토사항

  • 기술정보의 차단
  • 기술 표준서의 문제

     

    개인 업무능력에 대한 평균치의 이동과 편차의 축소

       

       

    알고 보니 독신인 채 혼자서 하는 주사위 놀이.

       

       

    성과발표회장 게시판

       

       

       

    드러커는, 지식근로자가 목표달성을 위해 익혀야 할 습관적인 능력으로 첫째 시간관리, 둘째 목표달성의 효과를 항상 생각할 것, 셋째 자산의 강점으로 성과를 날 것, 넷째 업무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것, 다섯째 올바른 순서에 따라 올바른 단계를 밟아갈 것 등을 제시

       

    예전에 비해 IT는 상상할 수조차 없이 발달했지만, 지식이란 것은 사람과 사람이 대면해서 서로 의견을 나눌 때 가장 잘 이해되고 또 새로운 영감을 얻어 활용할 수 있다.

       

       

    지식경영 추진 절차

  • 지식경영 목적/추진전략 정립 및 컨센서스 형성
  • 목적에 따른 필요(핵심) 지식 정의 및 목표 설정
  • 보유지식을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공유(IT 등 활용)
  • 확보대상 지식은 대상 연구/학습 활동을 통해 입수
  • 필요(핵심) 지식의 고부가가치화(B/Practice 정리, 표준화, 상용화 등)
  • Work flow 를 통한 현업 연계
  • 지식경영 활동성과 측정 (공헌도/활용도/성과 기여도 등)

       

    비주얼 플래닝의 체계

    대일정은 한 프로젝트 전체의 일정이며, 그것은 다시 중일정으로 나누어지고 중일정은 주단위의 소일정으로 세분된다. 이때 대일정부터 소일정까지 단순히 하부 작업단위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업무의 질적, 양적 측면을 고려하여 나누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잠재적 장애요인들을 눙에 보이도록 구체화할 수 있게 된다.

       

       

    내용 계획의 체계

       

       

    되돌아 보기 과정

       

    애매모호하고 보이지 않는 계획 타파

  • 무리는 업무량이 과도함에도 불구하고 착수부터 하는 태도다.
  • 낭비는 불충분한 기술 검토 때문에 재작업을 하는 것을 말한다.
  • 불균형이란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업무 편중으로 생각할 시간을 빼앗아 버리는 것을 뜻한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