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중국의 유튜브, 유커우, 중국판 You tube - Youku(优酷), Tudou(头斗) 본문
중국은 체제의 특성으로 인해 Youtube, Tweeter, Facebook 등의 글로벌 SNS사이트를 제한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이 런칭한 유사한 사이트들을 사용하고 있음
You tube - Youku, Tudou
Tweeter&blog - Weibo
Facebook - Renren
Messenger - QQ
Google - Baidu
* Youku(优酷) (사전적으로 매우 멋지다(Excellent Cool)란 의미임)
1. 2003년 북경 설립, 2006년 서비스 개시, 창립자 Victor Koo(중국 Internet portal Sohu 대표)
2. 2010년 나스닥 상장
3. UCC 사이트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1,500개 이상의 컨텐츠 파트너사(방송국, 영화제작사, distributor, 드라마, 광고제작사 등)가 제작한 전문 동영상에 집중하고자 함
4. 2012년 Tudou와 합병 발표, Youku 21.8%, Tudou 13.7% 지분율 보유, Youku Tudou Inc.
당시 Youku는 인터넷 기업 11위, Tudou는 14위 였음
5. 2014년 기준 6.8억 달러 매출, 총이익 1.2억달러, 순손실 1.3억 달러
2015년은 전년 대비 60% 이상 성장 예상(아직 '15.4분기 실적 및 2015년 Annual report 발표 전이며, '15년 3분기 누적 실적 7.2억달러)
6. 2015년 11월 알리바바가 Youku Tudou 매입, 2016.4월 합병 완료
합병 이후에도 youku와 tudou는 독립적으로 운영 계획, Youku는 나스닥 탈퇴 예정
7. 주요 수익원은 광고수입임, 전체 매출의 73%가 광고 매출이고, 구독서비스 기반 매출의 개인 대상 13%, 기타 14%(이 부분이 명확하지 않음)
8. Active user는 5억명 이상, 일간 동영상은 8억뷰 이상임(2014년 기준)
9. 중국 최대 포털인 baidu와 연계한 Online search marketing firm인 iQiyi를 활용함
10. 기본적인 수익구조는 Youtube와 동일함
11. 대규모 중국 인구와 글로벌 SNS 제한 규제의 반사이익으로 중국 및 중화권에서 성장할 것으로 보이나, Free license에 익숙한 중국 사용자로 인해 유료요금제 도입은 아직 미정으로 보임. 그렇기 때문에 컨텐츠 파트너사의 영상 업로드에 더 집중함
12. 중국 정부 기관의 자금 투자도 받고, 정부 보안법상의 사용자 정보 제공에 동의함
'스크랩 >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핸드폰 이슈 히스토리 (0) | 2018.01.22 |
---|---|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산업 비교분석 (0) | 2018.01.22 |
YouTube 유투브 수익 모델 분석 10가지 (0) | 2018.01.22 |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알리바바, 미디어텍의 성장 배경 요약 (0) | 2018.01.22 |
이어버드, 인이어 이어폰 시장의 변화 및 실시간 통역 시장 (네이버, 구글 등)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