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농도 100% 말발 글발 완전정복, 최병관 본문
- 우선 책이나 글을 편안한 마음으로 끝까지 읽어라.
- 마침표까지 보고 필사하라.
- 반드시 연필이나 펜으로 필사를 하라.
- 가능하면 원고지나 백지에 필사하라.
- 하루에 한 시간씩, 적어도 6개월은 필사하라.
헤드라인?
- 주목을 끌어야 한다.
- 무관심하게 읽는 이들에게 어떤 전망을 주는 말이나 의미 있는 힌트를 주어야 한다.
- 가능한 한 읽는 이의 욕구에 맞는 약속과 근거가 나타나야 한다.
- 단어를 신중하게 골라야 하며 효과적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쉬운 것이어야 한다.
- 헤드라인은 촌철살인의 맛이 있어야 한다.
- 보고서나 기획서 등의 다른 요소들과 어울려서 작용하는 힘이 있어야 한다.
약속, 차별화, 가치관…을 어디서, 어떻게 찾을 것인가? FAB, Feature, Advantage, Benefit
Feature는 사람이나 제품 혹은 여러 사실 중 특징적인 것을 의미한다. 보통 3-4개를 찾아 글로 표현하면 좋다. 그 다음 Advantage는 특징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장점 하나를 말한다. 무엇을 장점으로 결정할 것인가는 누가 이 글을 읽을 것인가? 누가 이 제품을 살 것인가? 등을 고려해서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Benefit은 장점을 보는 사람이나 사는 사람의 입장에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SMP, Single Minded Proposition 사치엔사치, 소비자에게 단일하게 와닿는 하나의 소구점을 말함. SMP를 찾을 때 '소비자가 도저히 거부할 수 없을 정도의' 약속을 찾으라고 강조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장을 가장 중요한 신체기관으로 봄… 죽는 것을 보고. 인간은 가장 중요한 곳으로 가장 중요한 일을 한다. 따라서 인간은 심장으로 생각한다.
문장쓰기
- 첫마디는 짧게 써라.
- 헤드라인의 이야기를 계속하라.
- 어떤 사실을 숫자로 표현해보라.
- 구체적으로 말하라.
- 2인칭의 느낌으로 써라.
- 사진설명을 반드시 써라.
- 명쾌한 문장으로 전개하라.
-경쾌한 음악을 틀어놓고 글을 쓰면 살아있는 문장을 만들 수 있다. 글에 리듬이 있으면 읽혀지고 기억된다. 음악이 없다면 머릿속으로 노래를 부르며 글을 써도 좋다. 중요한 건 글을 쓸 때 즐거운 마음으로 해야만 문장이 경쾌해진다는 사실이다.
사람도 명사형 인간이 있고 동사형 인간이 있다. 동사형 인간이 활발하듯이 글도 동사형이 더 적극적으로 설득하는 힘이 있다.
일본의 마요네즈회사 큐피에서는 야채를 더 드십시오 라는 슬로건을 사용. 고객의 입장에서…
브리프의 기본형식
- 제품특성: 물리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각각 세 가지 정도로 표현
- 시장상황: 그 제품류의 역사나 전체 시장 등을 분석
- 경쟁상황: 경쟁사의 마케팅, 광고 등을 비교 분석
- 문제점과 기회: 이 제품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기회
- 타깃오디언스: 누가 이 제품을 쓸 것인가를 찾아내어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
- 광고목표: 이 광고 캠페인이 도달해야 하는 곳을 표현
- 단일소구점과 근거: 소비장에게 약속할 수 있는 이익과 이의 근거를 표현
- 광고의 개성: 표현에서 어떤 성격을 부여할 것인가? 현대적인가? 고전적인가? 하는 것
- 필수요구사항: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내용.
내 말을 듣는 상대방이 바로 앞에 있다고 생각하고 말을 하듯이 글을 쓰라는 것이다. 그래야만 당신의 글을 몰두할 것이다.
논문이나 기획서는 99가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펼치고 이를 통해 한 가지 새로운 결론을 내면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는다. 요약하면 1%의 승리를 위해 99%의 인용을 하라는 것이다.
리듬이 있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두 가지만 기억하자. 하나는 마침표를 빨리 찍어 문장을 짧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말의 3,4조나 4,4조를 잘 활용하라는 것이다.
한글프로그램에서 HY견고딕체를 주로 쓰고, 본문은 신명신문명조체를 씀. 본문 장평을 85%, 자간을 -5 정도로 설정하여… 또 행간을 130%로 설정하여 쓰고 있음.
큰 제목은 32포인트, 소제목은 15-20 포인트, 본문은 12포인트로 통일.
말하기의 서론… 질문 던지기.
속독법
- 집중력의 개발: 책의 내용을 파악하는 정신을 고도로 집중할 수 있는 상태의 훈련이다.
- 시폭의 확대: 한 번에 볼 수 잇는 폭을 넓히는 것으로써 동시에 많은 활자를 눈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 시지각능력의 개발: 눈으로 활자를 보는 순간 그 내용을 파악하는 능력을 말한다. 목독이라고 한다.
- 뇌 기능의 활성화: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았던 뇌세포에 자극을 주어 새로운 회로를 형성하고 많은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동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 이해능력의 개발: 눈에서 받아들인 활자를 자극을 뇌에서 순간적으로 과거의 기억을 상기시켜 비교, 분석한 후 이해하는 능력을 개발을 위한 훈련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공공도서관은 1910년에 일본인들에 의해 세워진 도서관구락부로부터 시작.
인생에는 네 가지 계단이 있다고 한다. 그 중 첫 번째가 관심의 계단이다. 그 다음은 이해의 계단, 존중의 계단, 헌신의 계단 순이다. 즉, 관심 없이는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관심을 갖고 있으면 우연이라도 이루어지게 된다.
시선은 사람과 사람을 맺어주는 가장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만약 이야기를 들을 때 눈을 바라보기가 거북하면 상대방의 목이나 넥타이 근처를 바라보는 것이 적당하다.
기호를 사용하라. 자기만의 기호를 사용하여 메모하라. 했습니다를 -로,
'읽고 또 읽고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빠와 함께 책을, 최희수 / 어린이 책을 읽는 어른, 이주영 (0) | 2016.03.23 |
---|---|
놀라운 집중의 기술, 라이프 엑스퍼트 (0) | 2016.03.23 |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정민 (0) | 2016.03.23 |
우리 시대의 스테디셀러의 계보, 한미화 (0) | 2016.03.23 |
베스트 셀러 이렇게 만들어졌다, 한미화 (0) | 2016.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