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자기주도학습을 완성하는, 토론하는 거실 글쓰기 식탁, 박기복 본문
728x90
반응형
역할토론은 논리가 아니라 '상황과 역할'이 중심이다. 역할토론은 연극이
다. 논리가 부촉하더라도 상황에 따른 대화, 역할에 충실한 대회는 얼마든지
기능하다. 논리가 중심인 토론에서는 '논리'만이 대회에 등장하지만 역할토론에서는
논리뿐만 아니라 각자 상황에 맞는 다양한 말이 기능하다. 따라서
입이 쉽게 열린다. 소극적인 아이도, 논리가 약한 아이도, 독서량이 부족한
아이도 모두 말을 쉽게 한다. 실제로 필지는 아이들에게 역할토론을 많이 시기
는데, 소극적인 아이, 논리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종석이처럼 변화하는 것을
무수히 많이 지켜보았다.
토론 초보자를 토론 능력자로 기르는 데 있어 역할토론 만한 방법을 필자는
아직 알지 못한다. 가정에서 토론을 동해 자녀의 논리력을 기르는 데 있어
역할토론처럼 쉽고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역할토론을 통해 자녀의 논리력과
토론 능력은 비약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순회 역할 바꾸기 토론
자신이 조금 전에 했던 말을 바로 다음 순서에서 자신이 반박을 하는 것이다. 자기가 말해놓고, 자신이 반박하는 상황이 웃음을 만들어 내고 생각을 요동치도록 만든다.
독후감 = 독자 + 중심 생각 + 책 내용 + 경험 +(형식)
반응형
'읽고 또 읽고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인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위대한 인문과학자들의 공부법을 통해 본, 노규식 (0) | 2017.06.21 |
---|---|
잃어버린 남자의 꿈을 찾아주는 7일간의 여행, 꿈과 야성이 회복되는 아주 특별한 순간, 스테판 스웨인폴 (0) | 2017.06.21 |
박철범의 방학 공부법, 시간 관리, 도서관 학습 (0) | 2017.06.21 |
인식의 도약, 정보의 시대를 넘어 직관의 시대로, 페니 피어스 (0) | 2017.06.21 |
세쌍둥이 + 쌍둥이 아빠, ‘아이언맨’ 실제 모델, 엘론 머스크가 전하는 인생에 대한 9가지 조언 (0) | 2017.03.2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