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박철범의 방학 공부법, 시간 관리, 도서관 학습 본문
그럼 공부의 목표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공부란 성실한 사람이 되어기는
과정을 배우는 것이다. 아무리 힘는 일이라도 아무리 어려운 일이
라도 그게 나에게 맡기진 일이라면 결국은 해내는 자세와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런 사람은 주위 사림들에게도 단순히 '공부 잘하는 사람'이
라 불리지 않는다. 그보디는 정실하고 유능한 사법이라는 말을 더 지주
-는다. 당신은 어떤 말이 더 듣기 좋은가?
성적보다 더 중요한 것은'인성'이다. 인성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가상 중요한 것이 '성실함'이다. 성실한 사람은 노력하는 '과정 '에
서 보람을 느낀다 그래서 삶의 대부분 순간이 행복하다. 그리고 그 행복
을 주위에 나눌 줄 안다. 따라서 당신은 명문대생이 되어야겠다는 목표
를 가지기보디는. 정실한 사람이 되어야겠다! 라고 다짐해야 한다 그러
면 당신이 원하던 것들은 자연히 따라올 것이다. 그것이 성적이든, 대학
이든, 경제적 여유든, 주위의 사랑과 존경이든 말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그 모는 것은 방학 전에
당신이 미리 계획한 것이어야 한다.
시간관리를 잘한다는 것은, 전혀 놀지도 않고 오로지 공부만 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인간인 이상 그럴 수는 없다. 시간관리란, 놀더라도
자기가 미리 계획한 그 시간에 노는 것을 의미한다. 공부를 하기로
계획한 시간에는 공부만 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바뀌 말하면, '맺고 끊는 것을 잘하는 것'이라 할수 있다.
친구들의 눈치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당신이 수첩을 한 번 흘깃 보고 다시 주머니 속에 집어넣으면,
친구들은 당신이 공부벌레가 된 사실을 쉽게 눈치채지 못할 것이다. 게다가 눈치 좀 채면 또 어떤가?
당신은 친구들의 시선과 생각이 신경 쓰이겠지만, 내가 인생을 살면서 깨달은 진리를 당신에게 꼭 말해 주고
싶다. 그것은, 내 주위 사람들은 실제로 나에게 그렇게 큰 관심이 없다는 사실이다. 이 점을 빨리 깨달을수록
당신의 인생이 편해진다.
'읽고 또 읽고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잃어버린 남자의 꿈을 찾아주는 7일간의 여행, 꿈과 야성이 회복되는 아주 특별한 순간, 스테판 스웨인폴 (0) | 2017.06.21 |
---|---|
자기주도학습을 완성하는, 토론하는 거실 글쓰기 식탁, 박기복 (0) | 2017.06.21 |
인식의 도약, 정보의 시대를 넘어 직관의 시대로, 페니 피어스 (0) | 2017.06.21 |
세쌍둥이 + 쌍둥이 아빠, ‘아이언맨’ 실제 모델, 엘론 머스크가 전하는 인생에 대한 9가지 조언 (0) | 2017.03.22 |
어떻게 질문해야 할까, 워런 버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만드는 3단계 질문의 기술 (0) | 2017.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