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게임의 귀한, 로렌스 커트너 본문

읽고 또 읽고/심리

게임의 귀한, 로렌스 커트너

bangla 2016. 6. 13. 13:36
728x90
반응형

모든 아동들에 대해서 비디오 게임의 폭력성과 폭력적인 행동 간의 단순하고 직접적인 관계를 조사하는 대신에, 이러한 게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위험성이 가장 큰 아동들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를 물어야 함.

   

남자 아이들은 흔히 게임을 하면서 친구들과 어울리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게임을 전혀 하지 않는 것은 사회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신호이다.

   

공격적인 행동을 배울 위험이 많은 경우

  • 범인이 매력적일 때,
  • 폭력이 정당한 것으로 비춰질 때,
  • 폭력이 현실적으로 비춰지고 실제 무기를 포함할 때,
  • 폭력이 보상을 받거나 적어도 처벌당하지 않을 때
  • 폭력에 대한 응분의 조치를 거의 혹은 전혀 받지 않을 때
  • 폭력이 우스운 것으로 비춰질 때

       

    정도에서 벗어난, 때로는 자기 파괴적인 아이의 행동과 처신이 순전히 비디오 게임 중독 때문이라고 치부해 버리면, 속은 편하다. 게임 탓이지 우리 탓이 아니니까, 그렇게 하면 부모 입장에서는 충분히 자위가 되지만, 아이에게 도움이 될까? 아이가 컴퓨터에 접속하는 걸 제한하는 데 초점을 맞추면 아이의 근본적인 기분 장애나 사고 장애에 대처하도록 도울 수 없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