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융, 앤터니 스토 : 시공로고스 총서 본문
정신분열증의 경우, 환자의 인성이 두게 개의 인성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파편화된다는 것을 목격했다. 그러니까 인성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분해되어 버리는 것이었다. 그런데도 그 파편 조각에는 치료자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연속적인 목소리가 들어 있었다. 더욱이 융은 자아가 비록 보이지 않지만, 고질적인 정신병이 진행되는 여러 해 동안 훼손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자아의 조각을 발견했다.
우리가 병리적 결과라고 생각하는 망상 체계의 형성은 실제로는 회복 재구성의 과정을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생각은 그것이 존재하는 한, 심리적으로는 진실이다.
- 마음은 여러부분으로 나뉜다. 융은 나중에 이런 마음의 분열을 별개의 인성으로 의인화했다.
- 모든 인간의 마음에는 하부구조가 있는데, 이것이 신화론적, 우주론적 개념의 원천이 된다.
- 이러한 신화적 자료는 인간 존재의 의미와 중요성을 제공한다는 긍정적 기능을 발휘한다.
- 이러한 신화적 자료는 보상적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미래지향적이기도 하다. 신화는 마음이 스스로 치유시키려는 노력이다. 즉 미래에는 현실에 더욱 잘 적응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다.
- 모든 꿈, 환상, 기타 유사 자료들이, 프로이트의 주장처럼 그 개인의 어린 시절을 기준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음의 창조적 에너지 - 리비도 -가 모두 성적인 것은 아니다. 히스테리 신경증은 일반적으로 성적 장애와 관련이 있지만, 정신분열증은 외부 세계에 대한 적응 실패와 더 관련이 있다.
언어분석학자들은 서로 다른 언어들의 관계를 연구할 때 이들 언어 사이에서 굉장히 유사한 단어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 관계가 너무 유사하여 이들 단어가 어떤 모어로부터 파생되어 나왔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그 모어는 이미 상실되어 찾아볼 수가 없다. 그래서 그 모어의 존재는 하나의 가설로 존재하게 된다.
아니무스는 여자가 갖고 잇는 남자의 이미지이고, 아니마는 남자가 갖고 있는 여자의 이미지이다.
정신분열환자들은 자신들만의 망상적 신화를 필요로 했는가 하면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개인의 심리적 발달이 지향하는 최고의 가치 및 목표는 통합 혹은 전체라는 목표였다.
그의 이름을 부르든 혹은 부르지 않든, 신은 언제나 존재할 것이다.
Vocatus atque non vocatus, deus aderit
-신탁
융처럼 신화와 종교를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고, 또 거기에 연금술과 중국 요가까지 연구한 사람은 더욱 드물기 때문이다. 융에 대한 학문적 비판을 내놓기가 어려운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비판하는 사람이 각 분야의 지식, 그것도 전문가 수준의 지식을 고루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성교가 인생의 가장 중요한 경험인 사람들은 이러한 견해를 잘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종교, 과학적 발견, 예술 등에서 최고의 가치를 발견한 다른 사람들은 융의 의미를 좀더 쉽게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이의 해석은 인생 후반기에 있는 사람들, 그러니까 대인관계의 문제를 헤쳐 나오면서 인생의 구원이 다른 곳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다.
'읽고 또 읽고 >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모의 심장, 송길원 (0) | 2016.06.10 |
---|---|
심리학에 물든 부족한 기독교, 옥성호 (0) | 2016.06.10 |
오늘 내인생의 최고의 날 , 스티븐 코비 (0) | 2016.06.10 |
끝나지 않은 여행, 스캇 펙 (0) | 2016.06.10 |
남자와 여자, 무엇이 다른가, 존 파이퍼 (0) | 2016.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