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 앨리스터 맥그래스 본문

읽고 또 읽고/기독교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 앨리스터 맥그래스

bangla 2016. 4. 17. 10:21
728x90
반응형

개신교는 위험한 사상이었지만 기독교 신앙의 정수를 이해하고 있었다. 개신교는 지역 특유의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고 있었는데, 이런 역량은 선례가 없는 것이었다. 개신교는 출발 당시부터 세계 어디에서도 적응과 이식이 가능한 종교로 만들어졌다.

   

용서를 구하는 사람들은 교회라는 제도와 그 교회의 권위를 부여한 성직자들의 간여와 중개가 없으면 이런 위로와 용서를 누릴 수 없었다. 구원은 제도가 되었다.

   

르네상스가 표방한 지식인, 희랍어, 히브리어, 라틴어에 능통한 사람.

   

금화가 짤랑 소리를 내며 돈궤로 떨어지는 순간, 영혼은 연옥에서 하늘로 뛰어오른다. - 면죄부

   

종교개혁은 교회가 믿는 것들과 관습들을 핵심적이고 근본적이며 강력한 이 믿음(곧, 이신칭의)과 일치하도록 재구성하는 작업이었다. 루터는 이신칭의 개념이 옛 여리고 성벽을 무너뜨리고 그 성벽을 대체할 것이라고 보았다.

   

웨슬리 형제는 광부들과 같은 노동자 계급에서 추종자를 얻은 반면, 성공회는 사회와 교회의 기득권층을 대변하는 세력으로 보곤 했다.

   

매사추세츠는 개신교도들에게 종교 실험의 온상이 되었으며, 상업은 대개 그 다음 관심사였다. 그러나 델라웨어부터 조지아에 이르는 남부 식민지에서는 주 관심사가 교역이었음. 남부는 성공회가 주로 식민 계급의 종교로서 뿌리를 내리고 번성… 식민지 사회 구조에 종교적 위엄이라는 장식품을 훌륭하게 제공해 줌.

   

그러나 각성 운동은 계속되었다. 이제 각성 운동은 너무나 넓고 깊어져 어느 한 사람에게 의존할 수 없는 운동이 되어 있었다.

부흥은 개신교의 본질을 바꿔놓고, 개인과 회중 그리고 국가 사이의 관계에 관한 인식을 바꿔놓았다.

   

이런 종교 부흥은 미국의 종교를 규정하는 표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정체성과 독립 정신, 그리고 민주주의 원리들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신교는 형성될 당시만 해도 선교나 복음 전도라는 말에 별로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보임. 칼뱅의 전도 모델은 주로 카톨릭 신자들을 개역하는 것.

… 처음에 개신교는 가톨릭교나 정교회에 둘러싸인 섬 같았다. 이런 상황에서 경계 밖의 이방인에게 나아가는 것은 어려운 문제였을 것이다. 루터와 칼뱅은 가톨릭교와 정교회도 기독교라는 점을 강조했다.

   

1500년대는 복음 전도는 개개 그리스도인의 책임이라기보다 기독교 국가의 기능으로 보게 됨. 자기 영토 안의 비 그리스도인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

   

선교사들은 그들이 활동하는 부족과 지역의 문화들을 깊이 존중했다.

하와이의 고유 언어가 보존된 것 1820년대에 선교사들이 복음을 설교하려면 원주민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 덕분. 아메리카 등지에서도…

   

개신교 신학은 만인이 활용할 수 있는 자료 - 성경-를 밑천 삼아 누구든 도전해볼 수 있는 사업이다. 개신교 신학에는 어느 해석을 우대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허락된 사람만이 접근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구원 여부를 좌우하는 신지식을 담은 비밀스런 추가 자료에 관한 의문도 존재하지 않는다. 영적 엘리트라는 개념도 없다.

   

그들은 청중이 그들을 신뢰하고 존경했다는 점이 더 근본적인 이유였다. 청중들이 자신들의 입으로 이들을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개신교는 근본적으로 민주성을 지니고 있다.

   

놀랍게도 자신들이 속한 교파 안에서 별로 권위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그들의 영향력을 너무도 강력했다. 제도 에서 우러나온 영향력이 아니라 그 사람 자신 으로 부터 우러나온 영향력이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영향력은 교파와 종파의 경계를 초월하는 힘을 갖고 있었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개신교는 나타날 수 있는 어떤 특정한 결과들의 집합체라기보다 신학을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나님은 결코 이 수단에 묶여 있지 않으시지만 이 수단 안에서 역사하시는 게 보통이다. 그런 점에서 교회는 하나님이 세우신 몸이며, 이 몸 안에서 하나님은 당신의 백성들을 거룩하게 만들어가신다고 칼뱅은 주장한다.

"그대에게 어머니인 교회가 없다면 하나님이 그대의 아버지가 되실 수도 없다"

   

미국은 유럽과 정반대로 국가가 어떤 제재나 제약도 가하지 않음으로써 사람들이 종교를 마음껏 선택할 수 있는 공개 시장을 제공했다. … 선택할 수 있는 종교가 많은 종교복수주의가 종교 소비자들을 시장으로 끌어 모으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유럽의 제도권 교회들은 교구 식구들의 요구를 확인해 그 요구에 부응하겠다는 생각을 거의 갖고 있지 않았다. - 아이어너콘과 스타크

   

정작 웨슬리의 가장 중요한 업적 가운데 하나는 찬송을 신학교육의 도구로 만든 것이었다. 좋은 찬송은 영감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기억하기도 쉽다는 점을 깨달은 찰스 웨슬리는 이런 찬송이 교리 교육의 보조 수단으로서 갖고 있는 잠재력을 계발하여 정교하게 세련된 찬송 문구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신학과 결합시켰다.

   

당대의 문화규범을 반영하고 있던 자유주의 개신교는 나치문화를 비판할 수 있는 적절한 기초를 갖지 못했따. 칼 바르트와 디트리히 본 회퍼 같은 개신교 저술가들은 이런 흐름에 맹렬히 반대하면서 기독교와 교회가 그 규범와 정당성의 근거를 문화규범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소수에 불과했다.

   

시간이 흐르고 개신교가 더 확고하게 자리를 잡자, 가정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신앙을 전해주는 구심점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가정에서 성경을 읽고 기도하는 일은 중요한 일상사가 되었고, 온 가족의 단결과 신앙적 헌신을 더욱 굳건하게 만들어주었다.

   

18세기 말에 등장한 주일학교는 개신교의 영향력을 공고히 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었다.

   

미국혁명은 개신교 신앙을 표방하며 설립된 많은 교육 기관들의 설립 이념을 크게 바꾸어놓았다. 미국 연방헌법이 교회와 국가를 분리해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짜 문제들은 19세기 말, 그리고 특히 20세기에 들어와 나타나기 시작했다.

   

Veritas Christo et Ecelesiae 1692년 하버드 대학 교훈, 그리스도와 교회를 위한 진리 => Veritas 로 바꿈.

   

개신교는 우선 어떤 고정된 결과들의 총체라기보다는 하나의 방법이다. 때문에 개신교는 그가 본디 표방했던 핵심비전을 잃어버리지 않고도 새로운 상황에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나는 그 책(성경)을 내려놓았다. 그리고 기쁨에 들뜬 어린 아이가 되어 하늘을 향해 내 손과 내 마음을 높이 들고 이렇게 큰 소리로 외쳤다. "다윗의 아들이신 예수여, 존귀하신 왕이요 구세주이신 예수여, 나를 참회시켜 주소서"

- 로빈슨 크루소

   

YMCA, 제임스 내이스미스 좁은 체육관에서도 할 수 있는 실내 구기를 만듬.

코칭이라는 개념을 개발해 냄. 영혼 멘토링 내지 제자양육으로 봄.

   

개신교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한 가지 패턴은 이 개신교가 탄생과 성숙과 노화와 사멸을 거쳐 마침내 갱신과 새로운 형태 형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끊임없이 되풀이한다는 것이다.

   

개신교는 자신이 부닥친 환경에 비추어 늘 자신을 재점검하고 갱신하는 동시에 그 나름대로 방법으로 성경을 읽는 것을 그 본질로 한다.

   

개신교는 통제할 수 없는 종교다. 이슬람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발전을 규율하거나 제약할 중앙 권력도 없고, 제도로 만들어진 권위도 없다. 개신교는 정치적면에서 점점 더 급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데 이런 현상이 함축하는 의미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누구나 성경을 해석할 수 있고 성경을 해석할 책임이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