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지식점프, 이홍 본문

읽고 또 읽고/자기계발

지식점프, 이홍

bangla 2016. 3. 24. 09:48
728x90
반응형

지식점프의 두 차원과 지식점프의 종류

   

   

의도적 문제의 역할: 지식의 학습마당과 창조마당 제공

   

기업 내에서 학습과 지식창조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문제, 내부와 외부지식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강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문제를 통한 지식창조 과정 + 조직문화

   

   

지식점프의 삼중나선구조

   

문제의 친숙성

  

높음

낮음

발생적

일탈혛 문제

돌발형문제

생성적

탐색형 문제

탐험형 문제

   

문제의 종류

   

다차원팀의 형태로는 기능횡단팀 cross functional team 이나 학제 횡단팀 cross discipline team 을 들 수 있음. 기능횡단팀이나 학제횡단팀이 창조적 마찰을 충분히 일으키기 위해서는 3가지 구성요건을 충족해야 함.

  • 전문성: 한 분야의 문제로 접근 가능한 깊은 지식의 정도
  • 인지스타일의 다양성: 사고하는 차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줌.
  • 문제해결 도구와 방법의 다양성: 다양한 문제해결 도구와 방법은 문제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게 만들어 줌

       

    이종지식의 내면화

  

낮음

높음

낮음

폐기학습이

일어나지 않음

폐기학습

높음

폐기학습

폐기학습 가속화

   

폐기학습이 일어나는 영역

   

   

폐기학습과 비선형적 사고

   

   

혁신과제의 도출과정

   

지식점프를 위해서는 금맥찾기에 나서야 한다. 불행히도 한국의 많은 기업들은 노다지를 캐고 싶으면서도 정작 금맥찾는 일은 안 한다. 왜 그럴까? 금맥을 찾는 일은 인내심과 강인한 노력, 때로는 모험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런 것이 싫어 자꾸 집찾기 문제 같은 것이 어디에 있는지 기웃거린다.

   

진정으로 지식점프를 원한다면, 그만큼 탐색적이며 탐험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풀어 나가라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도전적인 문제를 접하면 내 지식이 어느 정도이고 어디가 부족한지를 알게 된다. 이 부족한 지식을 알아야 누구에게 무슨 지식을 빌려올지도 알 수 있다. 도전적인 문제가 제기되면 일순 긴장감이 감돌게 된다. 가슴이 답답해지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혼동의 순간도 경험하지만, 어떻게 해서든지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오기도 발동한다. 이것이 구성원들의 강한 노력을 이끌어 내는 원천이기도 하다.

   

   

문제의 원인

   

탈중심화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