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디자인 경영, 정경원 본문

읽고 또 읽고/디자인

디자인 경영, 정경원

bangla 2016. 3. 23. 19:26
728x90
반응형

컴퓨터가 초당 1조 바이트씩 계산하는 인간의 두뇌 속도에 도달하는 시점이 2040-2050년경으로 추정…

   

디자인은 곧 의미 있는 질서를 만들어내기 위한 의식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다. Victor Papanek

   

디자인은 그 자체가 하나의 목적이다. 디자인은 곧 인공물을 자연 환경과 생활 양식 속에 적응시키는 인간 논리의 업적이다. Paul Grillo

   

시각적인 측면에서 볼 때, 디자인은 하나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료의 형태를 조직화하는 것이다. Marjorie Bevlin

   

디자인은 제조될 사물의 형태를 만들어내기 위해 색체, 규격, 재료, 모양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 John Pile

   

디자인은 어떤 특정한 목표를 가장 잘 성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계획이다. - Charles Eames

   

디자인은 우리 주변을 온통 둘러싸고 있다. 디자인은 물질 세계에 있는 모든 사물에 특성을 불어넣고, 공장의 생산품과 서비스와 같은 무형의 프로세스에 형태를 부여한다. Victor Margolin

   

디자인은 상징적,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물질적 사물들, 조직화된 서비스와 활동, 복합적인 체계 혹은 환경, 이 네 가지 영역을 통합하는 인공물의 개념화와 기획이다. Richard Buchanan

   

디자인은 의도적으로 어떤 것을 개발하는 활동이다. Raymond A William

   

우리는 디자인을 성능, 외관, 사물의 용이성, 생산 방법 등 제품에 특성을 부여하는 재료, 요소, 부품의 조합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Vivien Walsh

   

   

   

   

   

   

   

디자인의 학제적 속성

   

디자인의 4대 속성

   

심미성, 시장성, 기술성

   

   

시츄에이션 디자인, 디자인 다원주의

   

   

구분 / 분야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

공학디자인

교육 배경

조형 예술

조형 예술/기술

기술/과학

업무 유형

평면 작업

(시각적)

입체적 모델링

(시각적/촉각적)

수학적 모델링

(보통 비시각적)

주요 관심사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제품 미학/인간적 가치

구조/성능/단가

사고 방식

전체적

종합적

분석적

표현 방식

표현적

기하학적

수치적

주요 디자인 분야의 특성 비교

   

   

   

디자인 분야와 기업 활동 연관성 분석

   

   

2D 디자인

3D 디자인

4D 디자인

시각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인쇄된 직물

필름

비디오

2D 애니메이션

가구 디자인

도자기와 유리

인테리어 디자인

구조화된 직물

산업 디자인

패션 디자인

3D 일러스트레이션

건축

애니메이션

인터엑션 디자인

멀티미디어 디자인

제품 오페라

서비스 디자인

이벤트, 게임디자인

소프트웨어 디자인

기업 아이덴티티

   

   

창의성의 주요 요소

   

   

디자인 경영 시스템

   

디자인 경영 원칙- Jens Bernsen

  • 디자인의 경영 수단으로 이용하라.
  • 올바르게 정의를 내려라.
  • 중역 회의에서 굿 디자인에 대한 의제를 다루어라.
  • 디자인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라.
  • 목적의 동일성 유지를 위해 디자인을 사용하라.
  •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도전을 모색하라.
  • 디자인 명세서에서 목표를 명확히 서술하라.
  • 훌륭한 아이디어를 구별해 내라.
  • 과업의 제한점을 받아들여라.
  • 디자인을 상보적인 기술들 사이의 매개체로 활용하라.
  • 사용자와 도구간의 일체감을 추구하라.
  • 기업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 사이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만들어라.

       

과정

목표

활동

주요 기법

디자인 인식

해결해야 하는 문제와

목표의 명확화 및 관련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문제의 정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문헌 조사

현장 조사

(설문 조사, 인터뷰 관찰 등)

심리적 가치 분석

디자인 탐사

디자인 컨셉의 설정 및

창의적인 디자인 아이디어의 창출

디자인 컨셉 설정

디자인 아이디어의 발상

개념의 형상화

창의성 기법

프리핸드 스캐치

초기 모형

디자인 전개

디자인 아이디어의 구체화를 통해

독창적이며 심미적인 디자인 안의

창출

조형적 특질의 창출

형태와 기능의 조화 도모

디자인 대안(복수)의 제시

2차원적 표현 기법

3차원적 표현 기법

잠정적인 고객 참여 기법

디자인 종결

최종안의 선정 및 완벽도의 제고

최종 디자인 선정

비교 우위 요인 검증

목표와의 편차 및 보완

절대 평가 기법

상대 평가 기법

고객 반응 테스트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최종안의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이관 및 법적인 보호 조치 완료

관련 부서로 디자인 이관

양산 지원

특허, 디자인 등록 등으로 보호조치

홍보물 및 사용설명서 제작 지원

CAD/CAM

공업소유권 관련 기법

편집 및 인쇄 기법

고객 선호도 조사

  

   

   

대상

논점

방법

사용자

활동/행동

비디오 에쓰노그라피, 사진 에스노그라피

직접 관찰(필드 노트), 활동 분류/구조화

활동 분석(구조화된 계획)

  

반응

인터뷰 결과 매핑, 조사 질문 결과 매핑

키워드 분석, 포커스 그룹 분석

  

직무

인간 공학, 인체계측학

  

인지

인지 분석, 연상 분석

문화

동향

동향 분석, 선행자 분석, 민속/전통 분석

  

흐름

플로우/델타/카드 차팅, 작업 절차 도해

프로세스

운동

시간-운동 분석, 절차 경험 표기

  

변화

상태 추이 분석

제품

기능

관계성 매핑 매트릭스, 네트워킹, 사례연구

  

속성

기준에 의한 평가, 의미적 측면

  

등급

분류화, 구조화, 위치 매핑

환경

공간

인접물 분석, 공간 사용분석, 절차경험 표기

  

커뮤니케이션

단서, 신호, 메시지

  

기후

안락감 분석

기술

동향

동향 분석, 가능성 분석, 시대분석

  

혁신

특허 탐색, 분석, 기술 벤치마킹

라이프 사이클 분석

사업

회사

경쟁사 분석, 벤치마킹, 연합 네트워킹

  

시장

분할 분석, 인구 통계 분석, 유통 분석

  

전략

SWOT분석, 전략적 팔레트 분석, 7S's

주요 표적 대상의 세부 과제 분석 기법

   

Peter Schwartz

  • 초점이 되는 주제나 결정을 알아내는 것: Identify focal issue or decision
  • 앞 단계의 주제나 결정이 성공하거나 실패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고객, 공급자, 경쟁자 등과 같은 핵심요인 (Key forces in the local environment)를 찾아내는 과정
  • 거시적인 환경에서 핵심 요인에 작용되는 영향력(Driving forces)이 무엇인지
  • 핵심요소와 영향력을 중요성과 불확실성을 기준으로 분류(Rank by importance and uncertainty)하여, 각각 중요하고, 가장 불확실한 요소와 경향들이 밝혀지게 됨.
  • 시나리오 논리를 선택(Selecting scenario logic) 하는 과정으로,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시나리오를 만들어내기 위해 축들과 시나리오 드라이버를 결정하는 과정.
  • 시나리오의 뼈대를 세우고 살을 붙이는 과정 (fleshing out the scenarios)
  • 윤곽을 나타내기 시작한 시나리오들이 첫 단계에서 밝혀진 초점 과제나 결정들과 관련지어 어떤 시사점 implication을 갖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 역사의 과정과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는 데 필요한 '주요 지표와 단서를 선정(Selection of leading indicators and signposts).

       

       

    디자인 연구 프로세스에서의 표현

       

       

    전략적 디자인 팔레트 모델

       

       

    전략적 디자인 팔레트 적용

       

       

기준

낡은 가정

새로운 가정

소유

한 사람이 한 장소를 독점한다

한 사람이 여러 다른 장소를 공유한다

작업 장소

작업은 책상과 터미널 그리고

미팅에서 일어난다

작업은 하루 종일 일어나며, 작업은

사람이 있기만 하면, 하루 종일

다른 장소 여러 곳에서 일어난다

설비

장비는 상이나 조직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장비는 일을 하기 위한 도구이다.

권위적 심벌로 사용되기에는 너무

값비싼 것이다

이미지

작업 공간은 방문객에게 특별한

이미지를 줄 수 있어야 한다

작업하는 사람들을 위해 잘 디자인된

작업 공간은 올바른 이미지를 보여준다

선택

설비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적인

결정은 너무 느리고 복잡하며

혼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에 의한 적절한 선택은 보다 더

나은 장비를 고를 수 있게 하며, 그것을

잘 사용하려는 강한 의욕을 고취시켜 준다

비용

작업 공간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는

것은 최저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언제나 조직에 이득이다

공간 비용은 조직의 존재 이유인 모든

목적을 최고로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타협 없이 통제되어야 한다.

조직 생태학을 이용한 신구 가정 비교

   

   

디자인정보시스템 구현

경제적인 이점-생산비용,

시간을 단축하며 경비절감

조직의 다운사이징 효과

  

디자이너의 능력을 극대화

제품의 질적 향상

  

피드백 개선을 통한 제품 완성도 향상

제품의 경쟁력 향상

  

제품 개발에 관한 노하우 축적

새로운 제품 개발 시 대체의

신속성증가

  

그룹의 팀워크 향상

조직의 효율적인 활용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 정보 시스템의 활용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

   

   

공유가치

   

   

상황적 리더십의 특징

   

   

분야

목표

방법

인지

지식의 전수

강사 초청 강의

감점

자신 이외의 문화 집단에 속한

가치관과 행동을 배우고 그것을

기초로 상호 작용을 경험

귀속 훈련

경험 학습법

(시뮬레이션이나 롤프레이 방법)

행동

특정한 문화에서 적절한 행동을

모방이나 연습에 의해 획득

사회적 기술 훈련

인지와 행동 수정법

분야에 따른 이질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훈련 방법

   

필립스 사의 디자인 평가 기준

  • 제품이 인간공학적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디자인되었는가?
  • 디자인이 알기 쉽고 명료한가?
  • 제품이 안전 기준에 적합할 뿐 아니라 내재되어 있는 위험성까지 제거되었는가?
  • 제품이 소비자의 욕구를 성공적으로 만족시키는가?
  • 제품이 다른 자사 제품과 조화를 이루며, 또한 환경과 조화되는가?
  • 제품이 재료 선정, 생산 프로세스, 에너지 효율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디자인 되었는가?
  • 형태, 색채, 표면 처리, 그래픽 정보 등의 미적 요소들이 적절한 방법으로 통합되어 표현되었는가?

       

    굿디자인 선정 제도의 디자인 평가 기준

주요 평가기준

키워드

예술성, 외관, 형태, 심미성, 고품질의 디자인, 독창성

조형성

성능, 기술, 기능

합목적성

경제성, 가격, 경제적인 생산 공정, 시장성

경제성

제조, 적절한 소재, 재료 선정

제작성

사용의 유연성, 인간공학적 배려, 안정성, 작업 경제성, 내구성

사용성

시장성, 소비자에게 어필, 클라이언트에게 유용성

적합성

사회적 동향, 감각적 지적 자극

만족성

환경과의 조화, 환경 적성, 자원 절약과 재활용

환경 친화성

   

   

디자인 평가 단계별 평가 요소의 중요도 변화

   

   

감동을 위하여-박노해

   

오늘도 어김없이 아침 해가 떠오릅니다.

오늘 떠오르는 해는 오늘의 해입니다.

이 세상에 같은 것이 두 번 되풀이되지 않습니다.

매일매일은 전적으로 새로운 창조물입니다.

   

감동할 줄 모르는 사람은 창조력을 잃어버린 사람입니다.

감동할 줄 모르는 사람은 더 이상의 영적 성장이 멈춰버린 사람입니다.

감동을 잃어버리고 생기와 신명이 없는 사람은 미래가 없습니다.

정치적 견해나 말로는 진보라고 하더라도 감성과 도덕과 생활문화가

봉건성에 젖어 삶이 보수화하고 퇴보하는 사람입니다.

   

(중략)

   

온몸과 마음과 감성으로 열심히 감동하십시오. 감동을 나누십시오.

리더십의 핵심은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능력입니다.

감동을 잃어버렸다면 감동도 학습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항상 감동에 젖어들 수 있도록

몸과 마음의 안테나를 예민하게 닦으십시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