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미래는 바이오다, 이채열 본문

읽고 또 읽고/과학

미래는 바이오다, 이채열

bangla 2016. 4. 8. 20:04
728x90
반응형

구조유전체학

  • 기능을 전혀 모르는 단백질들의 구조를 규명을 먼저하고
  • 기능이 알려진 유사 분자들과의 구조를 비교하고
  • 타깃 단백질의 기능을 유추한 뒤
  • 생화학적, 생물학적 검증 실험을 통해 분자의 기능을 규명한다.

       

    proteomics 단백질체학

    한 유전자로부터 전달유전자(mRNA)가 만드는 단백질의 실제 기능적인 모습은 세포, 조직, 조절자에 따라 변함… 단백질을 생리적 변화에 따라 분석하는 도구와 시스템이 필요하다…

       

    유전자 치료의 핵심은 치료용 유전자의 확보와 이를 목표지점에 정확하기 전달할 수 있는 전달체(벡터)의 개발이다.

       

    GMP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

       

    바이오 연구는 크게 3가지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의약 타깃 등 기초연구, 제품개발에 필요한 재료나 과정개발 그리고 치료제나 진단법 등 제품 개발….

       

    DNA 서열 분석결과 1개 유전자가 다양한 단백질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열 분석결과는 더 이상 청사진이 아니며, 단백질 전체와 이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프로테오믹스(단백질체학)가 시급하다.

       

    유전자 이식만으로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인간에 이식했을 경우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없애는 기술(knock-out) 필요.

       

    스코틀랜드: 종양학, 면역학, 진단학, 유전학 등 강함 (페니실린, 돌리 등 개발 된 곳)

       

    프랑스 국립염기서열분석센터(NSC) - 파리 남쪽 40km 소도시 에브리=> Genepole

    프랑스 유전병퇴치협회(AFM) 유전병 전문 연구기관인 제네통 설립

       

    안티센스는 유전자의 전달꿈(mRNA)에 결합하는 염기서열을 가진 DNA조각으로, 질병 유발 유전자가 mRNA로 전사된 뒤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에서 mRNA에 달라붙어 단백질 생성을 차단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김대기(in2gene)사장은 SK케미칼 근무 시절 1999년 10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국산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주'를 상품화 함.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