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판타스틱 과학 책장, 과학책을 읽고, 쓰고, 번역하는 고수들의, 이정모 외 본문

읽고 또 읽고/과학

판타스틱 과학 책장, 과학책을 읽고, 쓰고, 번역하는 고수들의, 이정모 외

bangla 2017. 7. 14. 17:44
728x90

   

호킹 지수, HI 높을수록 대다수 독자들이 책을 끝까지 읽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

   

슈뢰딩거의 첫 번째 질문부터 살펴보자. 유전자의 부피를

유추해보니 아무리 크게 잡아도 한 변의 길이가 300옹스트름

을 넘지 않는 정육면체 부피 정도일 것인데, 이 정도 부피 안

이라면 원자가 150개 정도 들어가는 자리에 불과하다. 유전

자 구조에 이처럼 적은 수의 원자들이 참여하는데, 도대체 유

전자는 무슨 수로 그토록 복잡한 생물체의 질서와 믿을 수 없

을 정도의 영속성을 책임지고 있는 것일까.' 난자와 정자를 다

리 삼아 세대를 건너가면서 유전자의 구조는 한 치의 흐트러

집 없이 보존된디는 것이 미스터리였다. 이 책에서 유일하게

슈뢰딩거가 감정의 요동을 표출하는 대목이다 슈뢰딩거는

"이것은 기적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실험의 역시를 조금만 깊이 들여다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실험

이라는 사건은 새로운 유산이 되어 다음 길을 제시하고 언젠

가 새로운 분기점이 또 생겨난다. 마치 생물진화의 역사가 필

연이 아닌 것과 비슷하다.

과학의 역사에서 좁은 시점을 들여다봐도 그렇다. 아인슈타

인이 상대성 이론을 탄생시키지 않았더라도 누군가 똑같은 상

대성 이론을 완성했을까.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비슷한 맥락

의 발견은 있었을지언정 전혀 다른 방법과 수학으로 우주를

설명했을 것이다 지금의 우주론은 아인슈타인이 만들어놓은

유행일 것이다. 반 고호의 양식이 있었듯이 아인슈타인의 양

식이 있었던 것이다.

   

뉴턴으로 완성되는 중력 이야기가 물론 끝은 아니다. 잠시

정차하는 간이역이라고 보면 되겠다. 세상은 절대적인 무엇으

로 설명하기 어려워지고 있고, 근대 과학의 핵심 교리였던 객

관성과 인과론이 현대 과학에 와서는 무너지고 있다. 그리고

믿어 의심치 않았던 뉴턴의 세계관도 바뀌고 있다. 상대성 이

론과 양자역학을 들여다보면 왜 그런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지만 뉴턴의 중력 이야기는 멀고 먼 과학 여행에서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초반부 코스가 될 것이다. 물체가 떨어지는 것인지,

잡아당기는 것인지, 밀어내는 것인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