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준비된 우연, 필립 코틀러 외, 세계 석학들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꾼 결정적 순간 본문
728x90
반응형
Donkeys have fields. 곰브리치
컴퓨터에게 '힉습'이란 자신을 정보로 채우는 일이었다. 하지
만 아이에게 학습은 아이디어의 교환을 의미했고, 흥미를 확대시
켜 관심 분야의 지식과 능력을 확대하는 시도였다.
그렇다면 학교는 무엇을 했는가? 학교가 한 일은 아이와 아이
니어를 교환하는 것도, 아이의 흥미를 확장해주려고 노력하는 것
도 아니었다. 학교가 아이에게 했던 일은 내가 컴퓨터에게 했던 일
과 매우 비슷한 것이었다. 학교는 딸아이에게 지식을 주입하려고
만했다.
세포막은 유기체의 정보 처리기기
얼마나 많은 사람이 책장을 넘기면서 자신의 삶에서 새로운 순간을 만나는가 - 헨리 데이비드 소로
반응형
'읽고 또 읽고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형인간, 스펙 위의 스펙, 인성이 답이다. 조관일 (0) | 2017.07.14 |
---|---|
1등의 습관, 무슨 일이든 스마트에게 빠르게 완벽하게, 찰스 두히그 (0) | 2017.07.14 |
액티브호프, 암울한 현실에서 새로운 미래를 여는 적극적 희망 만들기 프로젝트, 조안나 메이시 (0) | 2017.07.14 |
백전백승을 만드는 경쟁의 과학, 승부의 세계, 포 브론슨 (0) | 2017.07.14 |
알면서도 알지 못하는 것들 - 김승호, 인생의 가장 기본적인 소망에 대하여 (0) | 2017.07.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