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이미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주형일 본문

읽고 또 읽고/디자인

이미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주형일

bangla 2016. 3. 25. 06:30
728x90
반응형

Peirce 미국 철학자, 데카르트 철학에 반대하며 인간의 네 가지 불능 열거

  • 우리는 어떠한 내적 성찰의 능력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우리는 외부 사실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통해서 가설적으로 추론함으로써만 내부 세계를 알 수 있게 된다.
  • 우리는 어떠한 직관 능력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각각의 지식은 이전 지식들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정된다.
  • 우리는 기호 없이 생각할 수 있는 어떠한 능력도 가지고 있지 않다.
  • 우리는 절대적으로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어떠한 개념도 가지고 있지 않다.

       

    거울의 이미지가 실제로는 훨씬 작은 크기일 수 있음.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봤을 때 대상과 똑같은 크기의 복사판이라고 여겨진다. 대상과 거울 사이의 이미지는 대상보다 크기가 작고 좌우가 뒤바뀐 모습을 하고 있다. 거울-이미지는 대상보다 크기가 작고 좌우가 뒤바뀐 모습을 하고 잇지만 우리는 그 사실을 거의 깨닫지 못하고 거울-이미지는 실재의 충실한 재현이라고 믿는다.

       

    왜냐하면 의미는 더 이상 코드화의 해독, 언술, 전달, 수진 그리고 해석을 통해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와 보는 이 사이의 접촉, 교환, 감염, 혼종 교배에 의해 생겨난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이미지를 통해 자신을 표명하거나 자신을 투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네트워크에 자신을 접속한다.

       

    디지털이미지의 진정한 존재는 메모리 안에 저장할 수 있는 수학적 언어 형태 안에서 발견된다. 디지털이미지는 본질은 수열이다.

    추상적인 숫자의 배열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디지털이미지는 불멸의 존재이다.

       

    TV는 인공적인 사실성을 가지고 세계를 제시하기 때문에 시청자는 방송이 보여주는 것을 실재라고 생각한다. 방송에 많이 노출될 수록 우리는 방송을 현실로 생각한다. 시청자가 텔레비전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반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지 않는다면 환상에 빠질 위험이 있다. 허구가 실제가 될 위험.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