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귀한 자식일수록 회초리를 들라, 제임스 돕슨 본문
귀한 자식일수록 회초리를 들라, 제임스 돕슨
사랑과 통제의 적절한 조화
합리적인 징계에 따른 자기통제와 책임감
자녀를 위해 가장 좋은 것을 모색하는 부모의 지도력
가족 구성원 모두의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존중심
자녀들의 행동한계선을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
심판자의 입장에서 보상과 체벌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
I. 아이가 반항하자마자 즉시 체벌을 가해야 합니다. 이 시기에는 아직 기억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서 정의의 심판이 10분만 지체되어도 아이는 그 상황을 수용하지 못합니다.
A. 부모가 자녀를 잘못 키웠다는 죄책감에 사로잡혀 머뭇거릴 때, 아이는 부모의 심리를 바로 간파한다. 그래서 부모의 명령에 더욱 강하게 반발하고 오히려 더 많은 특권을 요구한다. 부모는 아이의 버릇 없는 행동을 참으며 마음속으로 끙끙 앓고, 마침내 이것은 분노로 폭발한다. 그제야 아이는 조용히 꼬리를 내린다. 결국 부모가 아이에게 져주면 가정의 평화가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정의 평화가 깨지는 것이다. -스포크 박사
B. 부모의 법집행은 자녀의 행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부모의 분노는 자녀에게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오히려 자녀의 마음에 파괴적인 경멸감을 남겨줍니다. 자녀들은 그들 부모들이 상황을 제대로 통제할 능력이 없을 때, 화를 낸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1. 자녀의 눈에 당신이 어떻게 보이는지 분석해보라. 아마 당신의 역할 가운데 99%는 무엇을 기대하는 사람으로, 어떤 행동을 시키는 사람으로, 어떤 행동을 금지하는 사람으로, 나쁜 행동을 할까 봐 뒤를 졸졸 따라다니는 사람으로 비춰질 것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지금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자녀는 당신과 함께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에게 이러한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부모와 자녀의 기본적인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아빠가 기꺼이 시간을 투자하여 자녀와 깊고도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주력한다면, 사춘기의 비정상적인 반항아들을 발생비율을 저하시킬 수 있을 것이다.
II. 두 살 세 살의 아이들은 단 10분 이라도 의자에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있기를 끔찍이도 싫어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아이들에게는 체벌을 가하는 것보다 의자에 앉아 반성하게 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그 효과도 오래 지속됩니다.
III. 아니 착한 애들이네, 하지만 참으로 중요한 것은 무슨 일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방지하는 것이지.
IV. 형제간 싸움의 진짜 표적은 바로 당신입니다. 이 점을 명심하십시오.
V. 브론펜브레너 박사는 중학생 시기야말로 아이들의 정신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VI. 아빠는 네가 나이를 먹을 수록 더 많은 자유를 줄 거란다. 작년에 비해 지금 더 많은 특권을 누리고 있잖니? 아빠도 네가 빨리 어른이 되어서 자유로워지기 바란단다. 그러면 너는 네 자신과 하나님에 대해서만 책임지면 되는 거야.
VII. 부모가 자녀의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해줌으로써 자녀들이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도록 길을 막아버리고 있는 것입니다. -제미 켈소
VIII. 나는 아들과 딸에게 하나님을 대표하는 역할을 하기 싫습니다. 아니, 내가 너무 부족해서 감히 그러한 역할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이미 아이들이 나를 그러한 자리에 올려놓았습니다. 그리고 당신의 자녀들 역시 당신을 그 자리에 올려놓은 것이 분명합니다. 창조주께서는 부모된 우리에게 실로 두려운 책임, 즉 자녀들에게 하나님을 대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책임을 주셨습니다.
'읽고 또 읽고 > 가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llo 아빠 육아, 오성근 (0) | 2016.05.01 |
---|---|
성품이 자녀의 인생을 결정한다, 존&수잔 예이츠 부부 (0) | 2016.05.01 |
어둠을 비치는 한 쌍의 촛불,강영우,석은옥 (0) | 2016.05.01 |
돈 걱정 없는 가정, 래리 버켓 (0) | 2016.05.01 |
행복한 별거는 없다, 게리 채프먼, Hope for the separated (0) | 2016.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