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창의성을 키우는 독서 학교, 조미아 본문

읽고 또 읽고/독서

창의성을 키우는 독서 학교, 조미아

bangla 2016. 3. 24. 12:26
728x90
반응형

영혼을 치유하는 장소, 고대 그리스 테베의 도서관에 새겨진 문구

   

생각의 뿌리가 얕은 아이들은 상처를 지니고 있다. 가정적인 문제, 학교 성적, 외모나 콤플렉스에 대한 문제 등 그들의 상처는 깊은 생각을 못 하도록 하는 방어체계이다.

   

스캠퍼 활동, 코끼리를 가지고

   

   

스캠퍼 기법을 사용해 글쓰기

   

   

Big6

  • 해야 할 과제가 뭐니
  •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들이 뭐가 있지?
  • 이런 정보에 어떻게 접근하지?
  • 이 정보에서 나에게 필요한 정보는 뭐지?
  • 이 정보들을 가지고 어떻게 해야 과제를 마칠 수 있을까?
  • 과제를 잘했는지 못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지?

       

초등학교 국어영역의 학년별 어휘 관련 요소

   

   

   

   

   

어휘력은 가정에서 나온다. 어휘력은 이해력의 근간이 되며, 이해력 없이는 논리력과 사고력이 발전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논리력과 사고력을 바탕으로 창의력이 자랄 수 있음을 생각해보자.

   

코타cota의 베겟머리에서 읽어주기에 적합한 도서의 유형 사례

   

   

길을 걸으면서 음식점 밖에 쓰여진… 글을 읽도록..

음식 메뉴를 쓰다 보면 글자를 인식하게 됨.

   

디킨스Dickinson 의 상호작용 4가지 유형을 책읽기에 적용한 사례

   

   

이야기 쉐마는 이야기 구조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구조이다. 아이는 책을 통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읽거나 부모가 해주는 이야기를 듣는 경험을 통해서 이야기 쉐마를 구성하게 된다. 유아기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 쉐마는 이야기에 나타나는 사건과 구성요소들의 형태, 사건과 행위가 순서화된 패턴, 이야기의 언어적 패턴과 대화 또는 역할수행 패턴 등의 광범위한 개념들을 포함한다. 이야기 쉐마는 사람들이 이야기를 기억하고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짜임새 있는 이야기를 많이 들을수록 아이들의 쉐마가 발달하게 되고, 이야기 쉐마가 잘 발달한 아이들은 이야기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만화가 최초로 교육에 활용된 것은 독일의 고등학교에서 라틴어 학습에 만화를 사용한 것.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