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HRD가 경쟁력이다, 김기혁 본문
인적자원 개발 구성요소
HRD 담당자의 임무
- 교육담당자로서의 역할
- 교육훈련의 필요점 파악을 통한 기업 내 교육방향 결정
- 경영활동상 필요하고 발생된 제 문제 가운데 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을 가려내는 것,
- 문제의 긴급성, 난이도, 영향효과를 고려하고 파악할 수 있는 것
- 교육 컨설턴트로서의 역할
- OJT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조언
- 자기계발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지원자
- 기타 교육관련에 대한 활동과 지원자
- 집합교육의 계획/실시자의 역할
강사, 교재개발자, 프로그램설계자, 요구분석가, 연구자, 평가자, 경력개발 상담자, HRD운영 관리자, 판매자(HRD서비스 판매), 변화촉진자, 성과컨설턴트 등.
영역 | 세부영역 |
과정운영자 | 성인학습원리, 기록관리기술, 시청각기술, 교육훈련기법 |
과정개발자 | 성인학습원리, PC운영기술, 조직행동원리, 목표설정기술, 질문 및 피드백 기술, 능력파악기술, 작문기술, 데이터 활용력, 교육훈련기법, 모델 설정기술 |
직무, 니즈, 분석자 | 데이터 활용력, PC운영 기술, 질문/피드백 기술, 조직행위 능력 파악기술, 성과관찰기술, 교육훈련기법, 산업계 이해 |
전략기획자 | 데이터 활용력, 조직행동, 산업계 이해, 미래예측기술, 비용/효과분석 기술, 인사관련분야, 교육훈련분야, 조직이해 |
강사 | 성인학습원리, 조직행동 이해, 교육훈련기법, 발표/피드백 성과관찰 기술, 그룹 운영 기술, 대인관례 형성기술 |
전문관리자 | 관리자...전반적인 능력 |
기타 | 교육방침, 조직, 시스템에 대한 이해 기본 |
ADDIE 모형
Analysis (분석) | 요구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직무 및 과제 분석 | 학습내용정의 | 요구수준,교육목적, 제한점, 학습과제 |
Design(설계) | 수행목표 명세화, 평가도구개발, 교육내용 계열화, 교수전략 및 매체 선정 | 교수하는 방법을 구체화 | 학습목표, 설계명세서 |
Development(개발) | 교수자료 개발, 형성평가 및 수정, 교재 개발, 파일럿 테스트 | 교수자료를 만들어내는 과정 | 완성된 Program |
Implementation(실행) | 사용과 설치, 유지 및 관리 | 모의상황/실제에서 실시 | 실행된 Program |
Evaluation(평가) | 교육훈련 성과 평가 | 포로그램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과정 | Program 평가보고서 |
역량이란 특정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주는 지식, 기능, 가치, 태도로 개인이 바람직한 성과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포함하는 능력이며 역량의 구성요소이다.
1.정의 수행 효과성 준거 | 2확인 준거집단 |
| 4.직무과업, 직무역량 |
|
|
객관적 자료 상급자 추천 동료 평가 부하평가 고객 평가 | 우수자집단 평균집단 | 행동사전면접 패널활용 설문조사 360평가 전문가시스템 관찰 | 수행업무요소 고성과자특성 역량모델 | 행동사전면접 시험 평가센터 | 선발 교육 개발 성과평가 직무승계 교육평가 |
성인체험교육이론, Adult Experiential Education Theory => 추상적 개념화, 적극적 실험, 구체적 경험, 반성적 성찰의 네 가지 투입물이 작용할 때 성인학습이 가장 잘 일어난다.
- 추상적 개념화: 새로운 이론, 아이디어, 또는 방법
- 적극적 실험: 추성적 이론과 아이디어 실험, 또는 무엇인가 해보라는 지시
- 반성적 성찰: 경험한 것을 반추하고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자기 이론이나 아이디어의 수정
Job 직무: 직무수행자 한 개인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이나 임무를 종합한 것으로서 직책(position)라는 말의 유사어로 사용되기도 함.
Function 기능: 전체 직무 중 하나의 독립된 하위 부문이며, 또한 관련된 임무의 집합체
Duty 임무: 해당 기능 중 독립된 하위 부문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비슷한 과제들의 모임
Task 과제: 직무수행시에 필요한 행위요소로서 시작점과 마침점이 있거나, 독립된 업무단위이거나 인련의 절차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구체적인 결과물을 내거나, 동사+목적어로 구성
교육훈련방법과 효과 비교
액션러닝
액션러닝: L=P+O+R
Learning (학습),
Programmed Knowledge (정화화된 지식)
Questioning (질의)
Reflection (성찰)
+ I … Implementation
'읽고 또 읽고 > H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의 난제 액션러닝으로 풀라, 이태복 (0) | 2016.04.26 |
---|---|
인사평가와 코칭기술, 도널드 커크패트릭 (0) | 2016.04.26 |
HR 스코어 카드, 브라이언 베케 (0) | 2016.04.26 |
인사관리 (0) | 2016.04.26 |
코칭 바이블, 게리 콜린스 (0) | 2016.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