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보청기 시장 현황, 청력 보조기기: 보청기(Hearing Aids), 인공와우(Hearing implant), 정부 보조금 현황 본문

스크랩/시장

보청기 시장 현황, 청력 보조기기: 보청기(Hearing Aids), 인공와우(Hearing implant), 정부 보조금 현황

bangla 2017. 3. 22. 16:21
728x90
반응형

보청기 시장 현황

1. 시장 규모

  - 전세계 판매 수량은 '15 현재 12~13백만개에서 '20 17~18백만개로 성장 전망

  - 금액 기준으로 '15 61 달러에서 '20 84억 달러로 성장 전망

  - 일반 보청기 시장은 50 달러이고 인공 와우 같은 임플란트 시장이 약 10 달러 시장 점유

    인공 와우의 경우 채용 실적은 적으나 1회 시술시 기기만 2~3천만원의 비용을 필요로

  - 평균 단가는 480~490달러 내외로 추정됨

  - OECD 국가 인구의 10% 이상이 난청으로 고생하고 있음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난청자들 중 30% 내외만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음

    개발 도상국의 경우 보청기 착용률이 현저하게 낮으며, 한국 역시 보청기 착용률이 20% 내외임

  - 난청임에도 보청기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시장 확대의 가장 큰 걸림돌임

  - 미국을 기준으로 보청기를 처음 사용하는 평균 나이는 69세이고,

    보청기 착용자의 평균 연령은 72세임(2013 기준)

 

2. 시장 현황

  - 안정적이나 경쟁적인 시장 환경

   10 년간 성공적으로 시장 진입한 신규 업체 없음

   ㆍ선도 기업은 연관 산업으로 활발히 진출중이며, 좋은 제품들이 시장에 많이 출시됨

 

  - 구조적인 성장 가능성 내포

   ㆍ고령화 시대로 인해, 노인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

   ㆍ난청 인구의 증가 : 이어폰 사용의 증가, 소음에의 노출 확대

   ㆍ복지의 일환으로 정부에서 보청기 착용에 대한 보조금 지급 확대

   ㆍ기술 발전으로 성능 좋고, 가격 경쟁력 있는 제품 출시

 

  - 지역별 시장 구분

   ㆍ주요 시장은 OECD 선진국이며, 단일국가로 미국 전체의 25% 차지하는 가장 시장임

   ㆍ수량 점유율은 유럽 41%, 북미 29%, 아시아퍼시픽 21%, 남미 7%, 아프리카 2% 순임

 

3. 시장 구분

  - 청력 보조기기는 보청기(Hearing Aids) 인공와우(Hearing implant) 구분됨

   ㆍ인공와우는 와우(달팽이관) 질환으로 양측 귀에 고도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한 환자가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청력에 도움이 , 인공와우를 달팽이관에 이식하는 수술임

  - 가격별 구분 ( 기준 가격임)

    100만원대 이하의 경제형 / 100~300만원대 보급형 / 300~400만원 고급형/ 500만원 이상 최고급형

  - 착용 방식별로 고막형, 외이도형/이갑개형, 귀걸이형이 있으며,

    귀걸이형(50%)>외이도형/이갑개형(30%)>고막형(20%) 순으로 수량이 많음

 

4. 주요 업체

  - 25년전 도입기에는 20 여개의 업체가 있었으나, M&A 등을 통해

   십년 전부터 지금까지 상위 6 기업이 전체 시장의 90% 이상 점유하는 구조로 정착됨

  - 유럽 기업이 전체의 89% 점유, 덴마크 기업이 48%

 

[ 전세계 보청기 업체 시장 점유율 ]

Sonova()

Demant()

Siemens()

GN Nord()

Starkey()

Widex()

기타

24%

23%

17%

16%

9%

9%

2%

 

  - 기타 업체 5%~10% 미만임

    SeboTek Hearing Systems(미국), Cochlear Limited(오스트레일리아), Sivantos Pte. Ltd.(싱가포르),

    Zounds Hearing, Inc.(미국)

 

5. 구매 채널

  - 45% 독립 판매상, 24% 대형 소매점(마트 ), 9% 제조사 판매샵, 22% 공공기관(2013 기준)

  - 청각사들을 중심으로 독립 판매상들의 비중이 소폭 감소하고는 있으나, 시장의 중요한 채널임

  - 대형 마트 안에 Shop-in-shop 형태로 제조사 혹은 규모 있는 독립 판매상이 입점 영업중

  - 대형 마트는 비교적 저렴한 경제형을 중심으로 판매중임

 

  - 제조사와 유통사의 이익 구분은 전체 판매 금액의 4:6 비중임



(출처: AARP.org)

 

6. 정부 보조금 현황

  - 국가별로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전세계적으로 전액 지원 구매는 20%, 일부 금액 지원은 20%, 지원금 없는 구매는 60%

  - 제조사 혹은 글로벌 유통사를 통한 보상 제도는 없음

 

  - 한국은 청각장애인 등록자들은 모두 일부 금액(최대 131만원) 지원 가능함

    15 미만의 경우 양쪽 지원으로 262만원 가능

 

 

보청기 개요

1. 착용 기준

  - 일반적으로 30데시벨 이상의 청력 손상이 있을 착용

  - 청력도의 기준이 되는 0 데시벨은 20대의 건청인(정상) 겨우 들을 있는 아주 작은 소리의 크기

    대화시 목소리 크기는 보통 65데시벨이며,

  - 귀의 청력 손실이 80데시벨이고,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데시벨 이상인 자부터

    국내 청각장애인 6 등록 가능함

 

 

2. 기능 및 원리

  - 난청자의 귀에 장착하여 소리를 증폭하여 주는 기구로

    소리를 받는 마이크로폰과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내보내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맞추어 동작

 

   

3. 보청기 종류

  - 일반적으로 고막형, 외이도형/이갑개형, 귀걸이형이 있으며,

   ㆍ귀걸이형이 전체 시장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점차 비중이 축소중임

   ㆍ외이도형/이갑개형은 시장의 30% 차지하나 지속적으로 성장중임

   ㆍ고막형은 전체의 20% 차지하고 있으며 비중 변화가 적음

 

4. 시술방법

  청력 검사

    - 주파수마다 들을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와 가장 편안하게 들을 있는 소리의 크기,

      불쾌감을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여 증폭할 범위를 결정

    - 단어를 이용한 어음 청력검사를 실시

  외이도의 제작

  청력 검사 결과와 개인의 특성을 바탕으로 적당한 크기와 기능의 보청기를 선택

  개인의 청력 손실의 특성에 맞추어 프로그램하고, 외이도에서 떠온 본의 모양대로 만들어 착용

  착용 통증 유무, 보청기 효과, 울림현상 유무, 청력 목표치 달성도 확인

    일상생활에의 적응은 보통 주일이 소요됨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