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 your brain
Market Trend Report 본문
Market Trend Report
1. Market News
-. CAGR에 따르면 IP-based Surveillance 시장은 2016년까지 매년 20%이상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여기에 포함되는 Main solution은 IP camera, Video Server, NVR 그리고 VMS 등이라고 언급.
-. 아직까지 시장의 비율은 Analog Cam : IP Camera이 8:2 정도에 그치고 있으나 향후 6년 내에 Cross over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
-. 지난 Trend Report에도 언급되어 있듯이 업체간 M&A 혹은 Co-work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Western Digital이 Hitachi Global Storage를 인수했음. WD가 Hitachi를 인수하는 형태이며 합병된 회사 역시 WD의 Name만을 사용하며 본사 역시 Irvine에 위치한 WD의 HQ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함. Hitachi Group은 WD의 Share를 10%정도 소유하게 될 예정.
-. 미국의 보험회사들이 가정 내 Camera를 기반으로 하는 Alarm System을 설치할 경우 재산에 대한 보험료를 최대 20%까지 Discount해주겠다고 발표. 이는 미국 내 Top10 보험회사들이 지난 3월 발표한 내용이며 이 Discount 비율은 Home에 Camera 기반의 Alarm system을 설치하는 비용을 충분히 Cover한다고 함.
: System 통합이 금년 미국 정부의 최대 과제 중 하나이며 이는 경찰서, 소방서 등의 정부 기관들의 보안 System 통합에 그치지 않고 가정집을 아우르는 미국 전체의 보안 시스템 통합의 일환으로 보여짐. ISC west에서는 이미 이런 Trend를 반영하여 Access control쪽으로 홍보가 치우친 경향이 드러났음.
-. 상기의 흐름에 맞춰 전세계 최대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 중 하나인 CISCO사가 Control4라는 IP based home control system으로 유명한 회사와 전략적 협력관계에 사인했다고 함. Cisco 사의 Platform에 Control4의 Solution을 Integrated 하는 방식이며 Contorl4에서 진행하는 제품에도 Cisco사의 인증 Logo를 사용하게 된다고 함.
-. 미국 내 최대 Distributor 중 하나인 GVI Security가 LG제품의 Sole distributor가 되었음. 지난 2월 GVI가 삼성 테크윈 제품의 Distributing 권한을 잃었었는데 이후 바로 3월 LG제품의 계약을 발표한 형태.
2. HD Camera
1) IP camera관련
-. 작년 Network Camera에서 HD급의 비율은 약 15%정도 였으며 유럽 시장에서는 약 25%정도를 차지. 금년은 전체 30%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유럽에서는 최대 50%이상이 HD급이 될 것으로 보임.
-. 2015년에는 60%이상이 HD급으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IMS)
-. 이와 같은 HD BOOM은 여러 요인들이 있으나 그 중 Analysis 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라는 요인도 있음. Motion Detection을 포함한 Analysis가 가능하게 될 경우 Event 시에만 Streaming 사이즈를 올리는 방식이 가능함으로 Network Bandwidth를 줄일 수 있음. 이와 더불어 ROI(Cropping 기술을 기반)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BW를 더욱 줄이는 것도 가능. 이와 더불어 High profile을 사용하는 IP camera들이 늘고 있음.
-. 마찬가지로 Dual steam이 필수로 인식되고 있는데 하기와 같은 이유가 있음.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의 Off hour 시에는 MJPEG으로 5-7frame 정도만 전송되다 사건이 발생시에는 H.264에 높은 frame으로 전환하는 식의 응용도 가능함.
-. 근래에는 VA(Video Analysis)가 SoC(DSP)에 적용되어 나오고 있음. TI의 DSP에는 이미 적용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Hisilicon, Stretch 등의 DSP에 기본적인 알고리즘인 People count, Motion detection, Missing object detection 등이 포함되어 있음. 이는 SoC의 Processor들이 더욱 빨라지고 Sensor의 Pixel rate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
※ IP System의 문제점
-. 다양한 Profile들이 적용되면서 Front와 Back-end의 Profile 차이로 인해 호환성이 떨어지고 있음.
: Camera에서는 높은 해상도를 cover하기 위해 High-profile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Video encoder/Server에는 전통적인 DVR chipset이 사용되고 있고 이 제품들은 Base-profile임으로 호환에 문제가 되고 있음. Onvif나 PSIA등은 Communication(Control) protocol의 Standard임으로 Encoding/decoding 관련 규정은 현재는 없음. 이 규정은 2012년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고 함.
-. D1의 6배에 달하는 해상도인 2M가 기본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임으로 Storage 역시 문제가 되고 있음. 상기의 ROI, Dual stream, SVC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B/W 및 저장 용량을 줄이고 있고 최근 3 Terabyte의 HDD가 $180정도로 판매가 되고 있음으로 이는 빠른 시간 내에 해결될 것으로 보임.
-. 상기의 Platform에 따른 Profile의 차이로 인해 Decoding이 되질 않아 발생하는 부분 이외에도 Integrated VMS에서 해상도 및 Ration 지정의 한계로 인해 화면이 왜곡되고 있는 현상도 발생. 즉 A라는 IP camera에서 FHD 영상을 보내고 있는데 VMS에서 1번 카메라에 설정한 CH은 1280x720이라면 화면이 왜곡되거나 Display가 되질 않는 상황이 벌어짐. 이는 VMS에서 다양한 경우의 수를 설정하여 Cover해야 하는 부분인데 너무도 다양한 Camera들이 사용되면서 Field에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2) HDCCTV관련
▶ Gennum의 Plan
a) 단가 및 시장 소식
-. 수량만 된다면 단가를 확실하게 인하할 계획이 있고 지금도 Major업체에는 $10 under도 가능하다고 언급하고 있다고 함.
-. Gennum TX/RX의 경우 금년 4월까지의 물량이 작년 전체물량에 달할 정도로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함.
-. Eyenix제품으로 데모를 진행할 때 업체들이 Cable을 방송에 사용하는 정도의 좋은 제품으로 100m 정도라고 이야기하고 있다고 함: Gennum 제품으로 방송용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200m이상도 가능하다고 함.
-. RG59이라는 일반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에 Eyenix제품은 아직 검증이 되지 않았고 Wonwoo에서 Secutech에서 데모한 제품도 RG59가 아니였다고 함.
b) GV7700/7701관련
-. GV7700은 GV7600에 비해 3개의 IP를 추가적으로 갖게 되는데 UCC(UpCableCommunication), Test Pattern, VLC(Visually Lossless Compression: Long Reach mode)
-. Gennum에서는 우선 FPGA + GV7600/7601의 Promotion을 6월부터 시작할 예정.
-. GV7700의 Release 시기는 2012년 4Q로 예정이며 GV7701은 다채널도 고려 중.
-.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RX단에서 SoftLogic의 신규 MUX+Codec 제품에 Test pattern을 제외한 2가지 IP를 내장시키는 것을 논의 중이라고 함.
3. NVR 관련
1) NDVR
-. NDVR이라는 제품이 시장에서 선보이고 있음.
: NVR의 구조에 DVR의 기능을 포함시킨 제품으로 간단히 Analog + IP의 Hybrid 제품으로 보임.
-. NVR은 Analog camera를 받을 수 없으며 DVR은 Network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는 하나 Streaming data를 받을 수 없고 받는 경우도 있지만 Frame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음.
-. NDVR은 IP 및 Analog를 둘 다 받을 수 있고 Server로의 기능도 수행하여 받은 영상의 Streaming도 가능하고 저장을 직접 DAS에 할 수 있음으로 이 영상을 전송하고 또한 Playback까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DVR의 기능도 수행.
2) Video Server
-. Video server의 제품군이 IP system으로의 이동이 가속화 되면서 Needs가 늘어나고 있음.
-. Video server의 시장 점유율은 IMS에 따르면 IP camera와 더불어 최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거의 30%에 달하고 있음.
: 이는 IP system 도입의 대형화가 가속되면서 SI 업체들이 기존 Infra를 활용하려고 하기 때문. IP system으로 Analog camera system을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제품이 Video server임으로 Total solution을 내세우면서 Full line-up을 가져가는 회사들은 Video server 역시 개발할 수 밖에 없기 때문.
-. 2CH~16Ch 이상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존재하고 있고 Ambarella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만 보수적으로 잡아도 연 100만개 이상(Chip set 기준)이라고 함.
4. 주목할 만한 부분
-. ASIC 혹은 DSP 업체들이 Solution Offer에 집중하고 있음. 물론 RDK + SDK의 Business는 Chip 업체들이 전통적으로 택하고 있는 Promotion 방식이나 최근에는 좀 더 Aggressive함.
-. H/W 적으로는 100% complete 보드의 형태이고 S/w적으로 추가 혹은 Modify정도만 하면 제품을 바로 개발 완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자사의 S/W solution이 있는 경우 이를 Porting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DSP 내의 일부 Block에 Filter들을 추가하여 업체별 차별화 가능한 부분을 제공.
-. 특히 RDK 부분에도 DSP의 내부 블록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FPGA 등을 추가할 수 있도록 Reference Schematic을 제공. 이를 통해 VA등을 FPGA에 Porting하여 업체의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울 수 있는 개발 편의가 가능.
-. 근래에는 2가지 부분에서 DSP 업체들이 개발사에 차별화 포인트를 제공하는데 하나는 GUI관련이고 다른 하나는 Network S/W의 Porting관련. GUI는 수정이 가능한 Tool을 제공하거나 DSP 지원의 GUI를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GUI로 변경하는 Guide 제공 등이 있으며 Network S/W는 VMS/CMS 등을 올릴 수 있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