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시장

사물인터넷, 주요 유형별 사물인터넷 활용(스마트카, 스마트홈), 홍채인식, 홍채인식 원리

bangla 2017. 3. 22. 16:54
728x90
반응형

사물인터넷

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or Internet of Everything) 정의

- 사물과 사물 간에 인터넷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로 기기가 센서로부터 인식한 정보를

클라우드 상에서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로 재활용하는 것을 말함

  - 웨어러블, 헬스케어, 스마트홈, 스마트카 분야를 망라하는 개념

기존 PC, 스마트폰, 태블릿PC 통신 모듈이 장착된 한정된 디바이스였다면,

이제 통신 기능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범주가 많아지게 되면서 생산되는 정보량이 무궁무진해짐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 솔루션 업계가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2. 사물인터넷 주목 이유

- 스마트폰 단말기 시장 포화

- 1 사용하는 사물의 연결의 무한 성장 가능성

- 스마트폰에 국한된 모바일 생태계를 확장하고 산업의 장기성장성을 확보 가능

- 20133천억 달러 규모인 사물 인터넷의 경제적 부가 가치가 연평균 20% 증가해

2020 1.9 달러까지 이를 것으로 전망(출처:가트너)

  ㆍ제조업, 헬스케어 부문, 보안 등에서 사물 인터넷의 활용도가 가장 높을 것

 

 

 

3. 주요 유형별 사물인터넷 활용

1) 스마트홈

   -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으로 조정, 확인하며, 집에서의 편의생활을 원활하게

   - 효율적 에너지 관리까지 가능한 자동 냉난방, 조명, 가전 제품 조절 추구


 

2) 스마트카

- 주요 적용 기술은 개발 목적에 따라 크게 안전과 편의 분야로 구분

ㆍ교통사고 감소 효과, 초고령 사회 안전 운전 대비, 주차지원, 차량내 편의 정보와 소통 도모

- 전장과 전기전자, 정보통신 업계의 협력으로 빠르게 개발 진행중

 

- 구글, 애플, 삼성 모바일 업체와 전장 업체간의 활발한 개발 진행중

ㆍ구글 : 아우디와 공동 개발한 스마트카 시스템을 ‘CES 2014’에서 선보임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이용한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공개

  . 구글 2011년부터 무인 자동차 시운행중

  . 안드로이드 차량제어 시스템이 탑재된 자동차는 올해 출시 예정

ㆍ애플 : 13 6 개발자회의(WWDC) 통해 ‘iOS (iOS in the car)’를 공개

. iOS 이용해 아이폰과 자동차의 계기판을 통합해 작동시킨다는 계획을 발표

. 애플은 폭스바겐과 합작해아이비틀’을 발표

. BMW, 메르세데스-벤츠, 제너럴 모터스(GM), 혼다 12 협력사 확보

ㆍ삼성전자 : 자동차용 OS 전략은타이젠’을 통해 구현될 전망

. 13 11 서울에서 열린타이젠 개발자 서밋 2013’에서 삼성과 인텔의 타이젠 연합은

도요타, 재규어, 랜드로버 등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타이젠을 탑재하기 위해 협력

  

 

4. 기업별 사물인터넷 전략

1) 삼성전자 : 콤포넌트 + 디바이스 = 솔루션

- 부품과 단말 부분에서의 경쟁 우위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 솔루션 제공

- 스마트홈, 스마트헬스, 스마트유통, 스마트 사이니지, 스마트카 서비스 준비중

 

2) LG전자 : 모바일 기기와 가전과의 연결 강화, 스마트홈으로 친근하게 접근 추구

- 홈챗 서비스 공개, 채팅 형식으로 가전과 대화

  ㆍ라인 메신저를 통해 여행 일정을 얘기하면 냉장고가 휴가모드로 전환할지 묻거나,

로봇청소기가 오늘의 청소 내역을 알려오는 등 가전과 친근하게 대화로 소통

 

3) 애플 : 하드웨어 보안과 모바일 결제시스템 도입, iWorld 구축 강화

-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하드웨어 보안성 강화와 모바일 결제시스템 확산 준비

- 사파이어글라스 채택으로 지문인식 보안 강화, 아이폰 홈버튼에 적용, 향후 전면에 지문인식 적용 예상

  ㆍ아이워치에 강도 높은 사파이어글라스 채택으로 파손 위험도 줄임

- 아이비콘 활용한 모바일 결제시스템, 쇼핑 정보 수집

ㆍ블루투스(Bluetooth LE)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해 내고 서브파티 제품과 연동함

ㆍ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매장내 쇼핑정보, 쿠폰, 상품 정보, 소셜 평가, 동영상 알림 가능

5cm ~ 49m까지 정확한 위치 파악으로 NFC 근거리 통신(최대 10cm) 제한 해소

ㆍ지문인식을 통한 보안 강화로 편리한 모바일 결제 가능

ㆍ매장에 아이비콘 송수신기 판매($33)/임대 $10 수익, 애플 유저 결속 도모 가능

  - iTV, iCar 모바일 기기를 넘어선 스마트홈, 스마트카 분야로 시장 확대

 

4) 구글 :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홈으로 시장 확대 à 궁극적으로 사물인터넷 주도권 강화

- 웨어러블 기기의 전용 OS “Android Wear” 발표 (2014.3)

  ㆍ모토로라와 LG전자는 Android Wear 채택한 모토360 G워치를 각각 공개하였으며

G워치는 2분기, 모토360 3분기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

    ㆍ삼성전자, HTC, ASUS 뿐만 아니라 시계업체인 Fossil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어

      하반기 이후 Android Wear 채택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대거 출시될 전망

ㆍ스마트폰에 가까운 UI 구성. 화면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swipe 또는 tap 하여 원하는 메뉴로 이동.

음성명령을 통한 컨트롤도 가능

- 스마트홈 업체 ‘네스트랩스’ US$32억에 인수 (2014.1)

  ㆍ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온도조절장치인 ’네스트 서모스탯’ 활용

    ㆍ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를 기억해 자동으로 동일한 온도 맞춰주고,

집에 사람이 없을 경우 자동 감지 에너지 소비 줄임, 날씨 정보를 받아 스스로 온도를 조절하며,

내장 소프트웨어로 자체적으로 업그레이드, 사용자가 언제 일어나고 집을 나서고 돌아오는지 파악

    ㆍ가정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가족구성원들의 생활패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해서

진정한 스마트 홈네트워크시스템 실현을 추구 à 라이프 패턴 활용한 제품 개발, 타겟 광고 가능

 

 

5. 산업에의 영향

- 제조업, 통신, 의료, 통신서비스 산업 확대가 예상됨

  

1) 제조업 활성

- , 모듈, 단말 시장의 확대

  ㆍ무선 송수신칩, 센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사물인터넷 모듈, 단말기 생산

- 특히, 다양한 센서들의 개발 성장이 주목됨

- 자동차 전자화로 2020년까지 전기 부품이 전체의 50% 이상 차지 예상

 

2) 보안 서비스

  - 모든 기기들이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 도난 해킹 등을 통해 전체 네트워크 접근 가능해짐

  - 단말마다 보안 기능(지문, 얼굴, 홍채, 음성, 정맥인식 등) 강화 네트워크 보안도 중요해짐

 

 

홍채인식


1) 홍채인식 원리

- 홍채는 생후 1~2년내 고유한 패턴이 형성되어 평생 변하지 않음

- 홍채의 패턴을 코드화해 이를 영상신호로 바꾸어 비교·판단하며, 2초내 신분 판별이 가능함

2) 활용 방안

- 출입자 보안 통제 : 연구소, 은행, 대기업 정보처리 센터, 정부기관, 공항 등에서 출입자 보안 통제

- 신원 확인 : 현금 인출기, 신용카드, 전자화폐, 전자상거래 서비스, 모바일, 시큐리티 신원 확인

- 변화 중복 가능성이 없고, 비접촉 인증이라 사용 거부감 적음

3) 모바일 기기에서의 홍채인식 기능

- 스마트폰에서 지문인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문인식 모듈이 필요하지만,

  홍채인식의 경우 이미 탑재된 고화소 카메라를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

을 통하여 인증절차를 진행하면 가능함

- 12 5 삼성전자에서 특허 출원한 내용을 살펴보면

‘적외선 조명 대신 단말기내 근접 센서를 이용해 홍채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으로 명시되어 있어 적외선 조명 부문의 해결이 가능해 상용화 시기를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ㆍ갤럭시S5 홍채인식 기능 탑재 루머가 있었으나, 이번엔 채용되지 않음

- 기존 홍채인식 카메라 메이커들도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개발 완료

  ㆍ삼본정밀전자 중국 Truly 외주생산으로 프로토 타입 발표, 삼성전자 진입 노림

- 5MP AF 정도의 스펙이면 홍채인식 프로그램 사용 가능

  ㆍ후면부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인식 어플리케이션 등장

  전면부 5MP 이상 AF 카메라 채용된다면 오인식률이 높은 얼굴인식보다 보안기능 특화 가능

  스마트 워치에까지 적용시 AF 시장 확대

반응형